• 검색

은행의 '잘파세대' 공략, 허상일까 아닐까

  • 2023.09.07(목) 06:11

낮아지는 은행 타깃 '연령'…이제는 10대까지
변화하는 금융시스템…충성고객 확보는 어려워

최근 일부 은행들이 '잘파세대'(1990년대 중반 이후 출생 세대)를 공략하기 위해 고심하는 모습이다. 공략 대상이 MZ세대에서 점점 어려지는 추세다. 

은행들이 사실상 '돈' 이 안되는 서비스까지 내놓으면서 어린 세대들을 공략하는 데에는 미래 충성 고객 확보를 위한 전략이 깔려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일부에서는 본격적으로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기 시작하면 어린 시절의 은행 경험은 의미가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카뱅이 시작한 '잘파공략' 전 은행권으로

지난 2020년 카카오뱅크는 10대만을 겨냥한 서비스인 '카카오뱅크 mini'를 선보였다. 본인인증 등의 절차만 거쳐 송금, ATM 입출금 등 성인 이후 활용할 은행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였다.

또 '카카오뱅크 mini'에 10대들이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급식표, 시간표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도 했다.

카카오뱅크가 이 서비스를 내놓은 이후 은행들은 10대와 20대, 소위 잘파세대를 공략하기 위한 '유스앱' 등 관련 서비스를 연달아 내놓기 시작했다. 은행권에서 공략하는 가장 젊은 세대는 성인이 된 대학생이었지만 연령대가 젊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은행 관계자는 "카카오뱅크 mini가 꾸준히 고객을 확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데다가 금융 교육 연령대를 낮춰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10대 등 핵심 고객은 아니더라도 미리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라며 "당장 이익을 가져다 주지는 못하는 고객층이지만 익숙한 경험을 제공하면 추후 사회인이 되고 나서라도 우선적으로 찾게되는 '락 인' 효과를 염두에 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잘파 세대의 성인 이후 자산 관리 금융기관 선호도. /그래프=하나금융경영연구소

사회인 되면 '다 떠날 수도'

다만 10대 등에게 선제적인 뱅킹 경험을 제공하더라도 성인이 된 이후 이들을 고객으로 유치하는 것을 장담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최근 '잘파세대 금융 인식 및 거래 현황' 보고서를 통해 "잘파세대가 어른 혹은 직장인이 돼 자산 규모가 어느 정도 형성됐을 때를 가정하고 선호하는 자산 관리 방법을 조사한 결과 영업점 직원이 응대하는 시중은행을 선택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라며 "향후 어른이 된 후에는 전통은행에 대한 신뢰가 더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결과는 일부 은행 본부 차원에서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서비스의 접근성이 비대면·디지털 기술의 영향으로 높아지면서 충성고객의 의미가 예전과 같지 않은데다가 미성년자 및 사회 초년생을 공략하기 위한 열쇠는 다른 곳에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 은행 관계자는 "충성고객이라는 의미가 예전과는 달라진 측면이 있다"며 "이제는 금융상품 가입이 쉽고 갈아타기도 쉽다는 환경 변화가 가장 큰 만큼 유스앱에 대한 접근론도 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은행 관계자는 "10대의 경우 부모가 어떠한 경험을 제공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종전처럼 핵심 고객층인 3040세대를 공략하는 것이 더 낫다"며 "사회 초년생의 경우도 회사의 주거래 은행, 대학교의 주거래 은행 등에 따라 거래은행을 정하는 경우가 더 많다고 보기 때문에 기관 영업에 공을 들이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전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