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를 정제해 석유제품을 만들어 팔때 생기는 이윤, 즉 정제마진으로 사업을 영위해온 정유사들이 마진 폭 축소로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석유제품 공급은 갈수록 늘어나는 반면 경기 침체로 수요는 줄어들고 있어서 업황 개선이 요원하기 때문이다.

◇ 석유가격 결정구조는
정제마진의 기본 개념은 원유 수입 가격과 석유제품 판매가격의 차이다. 100달러어치 원유를 사와 105달러어치의 석유제품을 만들었다면 정제마진은 5달러가 된다.
정제마진은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큰 석유제품 판매가격에 좌우된다.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국내 석유제품 판매가격은 국제 석유제품 가격, 환율, 유통비용, 국내 시장여건 등이 반영돼 결정된다.
특히 지난 1997년 석유산업 해외 개방과 함께 유가자유화가 실시되며 국제 석유제품 가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출입이 자유로워 국내 제품가격이 국제 제품가격에 연동될 수밖에 없어서다. 우리나라는 싱가포르 현물시장에서 결정되는 가격인 MOPS(Mean of Platts Singapore)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해외 수출제품 가격도 MOPS를 기초로 수급에 따라 정해진다.
국내 정유사 관계자는 “석유제품 시장은 수출입이 자유롭게 이뤄져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며 “예전처럼 정유사들이 가격담합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 석유제품시장 구조(자료: 대한석유협회) |
환율과 국제유가는 정제마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국제유가가 오르면 정유사에게 호재가 된다. 원유 운송기간이 한달 정도 되는데 한달 전보다 현재 가격이 비싸면 그만큼 차익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유업계에선 국제유가가 올랐다고 해서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유가는 오를 때도 있고 떨어질 때도 있어서 이익과 손실이 상쇄된다는 것이다.
환율도 마찬가지다. 요즘처럼 원화가 강세를 보이면 원유를 수입할 때는 이득을 보지만 석유제품을 수출할 때는 손해를 본다.
◇ 원유가격보다 제품가격 더 떨어져
최근 2~3년간 석유제품 가격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지난 5월 기준 국내 보통휘발유 세전가격은 ℓ(리터)당 838.16원, 자동차용 경유는 881.82원이다. 2012년 평균가격보다 각각 11.34%, 11.82% 떨어졌다. 이 기간 국제석유시장에서 두바이유는 5.80% 하락하는데 그쳤다. 원유가격보다 제품가격이 더 떨어진 것이다.

이는 공급은 늘고 수요는 감소한 탓이다. 정유사 관계자는 "원유를 수출하기만 했던 중동 국가들과 석유제품 최대 수요처인 중국이 자체 정제시설을 늘리면서 공급량이 크게 증가했다"며 "반면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고속 성장하던 중국 경제가 주춤하면서 수요가 줄어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국내 정유사들의 정유부문 실적도 크게 부진하다. 정제비용, 운반비용, 인건비 등을 감안했을 때 마진은 커녕 손해를 보는 경우도 허다하다.
SK이노베이션의 경우 지난 1분기 정유부문 영업이익은 35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91% 급감했다. 에쓰오일은 1분기 정유부문에서 520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해 작년 2분기부터 4분기 연속 적자를 냈다. GS칼텍스도 1분기 63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기름값은 세금을 제하면 물값보다 싸다”며 "주력인 정유사업에서 버는 돈이 없으니 새로운 사업에 투자하기도 힘든 상황인데 정부는 지속적으로 낮은 가격만 요구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정제마진은
단순마진과 크랙마진, 복합마진으로 분류된다. 단순마진은 원유를 분해하는 1차 장치인 상압증류설비(CDU)에서 생산된 석유제품(LPG·휘발유·등유·경유·나프타 등)의 가중평균 가격과 원유 도입 가격의 차이다.
크랙마진은 고도화 중유(벙커C유)를 투입해 생산한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제품 판매가격과 원료인 벙커C유의 가격 차이를 뜻한다. 벙커C유는 원유 정제 과정 중 생성되는 제품 중 하나다. 생산 비중은 40~50% 정도이며 원유보다 가격이 싸다. 이 때문에 정유사들은 마진을 늘리기 위해 고도화 설비를 갖춰 벙커C유를 통해 휘발유나 경유 등을 생산한다.
복합마진은 정유사들의 고도화 비율을 감안한 최종 제품의 판매 가격과 원유 가격의 차이를 의미한다. 단순마진과 크랙마진을 종합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