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대표적인 CSP(클라우드서비스제공업체)인 KT가 '매니지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로 MSP(클라우드관리서비스) 사업에서 존재감을 키운다.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의 '다이렉트 파트너' 자격을 획득해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한다.
이기영 KT 엔터프라이즈부문 AX사업본부 클라우드사업담당(상무)은 24일 코엑스에서 기자들을 만나 '매니지드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대해 설명했다. 공공기업이나 금융사, 대학교 등 중견기업들이 초기비용에 대한 부담 없이 월 이용만으로 엔터프라이즈급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는 서비스다.
KT는 자회사 KT클라우드를 통해서는 CSP 서비스를 제공하고, 본사는 MSP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다. MSP는 CSP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자체 노하우를 통해 최적화해 판매하는 것이 주 사업모델이다. KT는 자사 CSP인 KT클라우드를 비롯해 MS 애저, AWS(아마존웹서비스)까지 3종류의 CSP를 제공한다.
KT의 매니지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는 초기 도입비용을 들이지 않고 월 이용료만 지불하면 구독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공공기관, 금융사, 대학교, 중견기업 등을 대상으로 설계됐다. KT동작지사에 MSC 매니지드 서비스 센터도 개설했다.
이 상무는 "멀티 클라우드를 도입한 분들이 비용 효율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해 회귀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매니지드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주요 특징은 CAPEX(설치비용)가 없다는 점이며, OPEX(영업비용)도 퍼블릭 클라우드 이용료의 절반 이하를 목표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문제점으로 꼽히는 것이 많은 유지비용이 드는 인프라인데, KT의 매니지드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운영 인프라까지 올인원 패키지로 제공한다. 통신사라는 KT의 강점을 살려 전용회선이나 부가 오피스를 비롯한 여러 서비스를 결합해 사용할 수도 있다.
KT에 특화된 GPT 버전을 비롯, GPT-4o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애저 오픈AI' 서비스도 소개했다. LLM(초거대언어모델)을 각 사업자에 맞게 최적화하려면 상당 비용이 소모되는데, 이 서비스를 활용하면 종량제 형태로 LLM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게 이 상무의 설명이다.
이 상무는 LLM을 활용한 사례도 전했다. 예를 들어 선반을 판매하는 A사의 경우 카카오톡 채널에 상담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필요한 길이와 너비를 말하면 알맞은 선반을 추천하고, 고객이 그려준 도면을 해석해 상담해준다.
자동차 제조업 B사의 경우 차량 정비소에서 대리점으로 자동차 부품을 주문하겠다는 전화를 걸면, 자동으로 통화 내용을 해석하고 필요한 주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KT는 MS애저와 협력을 통해 1위 사업자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MS 애저 자격증 보유 직원이 1900명에 달하며, 상반기 내 MS 애저의 '다이렉트 파트너'가 될 예정이다. 이 상무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위해 우리 IDC를 활용하고, 여러 회선·통신 서비스를 활용해 타 사업자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