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거래량 증가폭이 크게 둔화하고 있다.
2.26 전월세 대책이 주택시장에 악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다. 전월세금에 소득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에 따라 임대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주택 구입이 끊기다시피 했다.
![]() |
국토교통부는 4월 주택거래가 전국 9만2691건으로 집계돼 전년 동월대비 16.6%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작년보다 늘기는 했지만 증가세는 확연히 꺾이고 있다. 지난 1월에는 전년 동월대비 117.4% 증가했으나 2월에는 66.6%, 3월에는 31.1% 증가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전년 동월대비 29.2% 증가해 지방(7.5%)보다 증가 폭이 컸다. 서울은 전년 동월대비 31.1% 증가했지만 강남3구는 고작 3.8% 늘었다.
유형별로는 연립·다세대 19.7%, 아파트 16.4%, 단독·다가구 13.5% 순이었다. 수도권에서는 단독·다가구가 40.5%(연립·다세대 27.3%, 아파트 27.3%)로 가장 많이 늘었다.
거래 금액별로는 수도권과 지방 모두 4억~6억원대 주택의 거래 증가가 두드러졌다. 수도권은 전년 동월대비 45.1%, 지방은 58.6% 각각 증가했다.
계약 체결일은 4월에 신고한 9만2691건 중 2월에 계약한 건은 1만7493건(18.9%), 3월 4만7339건(51.1%), 4월 2만7236건(29.4%)으로 각각 조사됐다.
거래량 증가폭이 줄어들면서 대다수 지역의 집값은 약보합세를 보였다. 송파구 잠실 주공5(76.5㎡, 11층)는 지난달 11억3700만원에서 11억1000만원으로 내려갔고 가락 시영1(40.09㎡, 2층)도 5억3500만원에서 4억9500만원으로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