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에서 대형 항공사고가 잇달아 발생하자 정부와 항공업계가 안전 강화 의지를 다지고 항공 종사자 인력 충원 등 항공안전 강화를 위한 대책 방향성을 공유한다.
국토교통부는 11일 오후 한국공항공사에서 한국항공협회 주관으로 '항공 안전 강화 결의대회'를 연다고 밝혔다. 한국항공협회가 주관하는 이번 결의대회에는 한국공항공사와 인천국제공항공사, 11개 국적항공사(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제주항공·진에어·에어부산·티웨이항공·이스타항공·에어서울·에어프레미아·에어로케이·에어인천) 대표, 항공업계 종사자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https://cdn.bizwatch.co.kr/news/photo/2025/02/11/3b980448b93318c998c8f627fe218552.jpg)
결의대회에서 발표할 결의문에는 국민이 안심하고 항공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5개의 추진 사항이 포함된다. 가장 먼저 더욱 안전한 항공사와 공항으로 변모하기 위해 모든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하겠다는 내용을 담았다.
또 조종사와 정비사 등 전문인력의 신규 충원을 추진하며 운항 전 지상에서 충분한 정비시간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담긴다. 비정상 상황에 대비한 교육훈련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안전과 타협하지 않는 환경과 문화를 확립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도 넣는다.
결의문 채택에 앞서 국토부는 항공안전 종합점검에 따른 후속조치 위험물 운송관리 강화 방안 등이 포함된 항공안전 강화 정책 방향을 공유한다. 기관별로도 자체 안전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더불어 지난달 13일부터 31일까지 시행한 항공안전 종합점검 결과와 위험물 운송관리 강화 방안 등을 반영한 고강도의 안전 강화 방책을 내놓는다.
국토부는 종합점검 결과에서 확인된 부적절한 정비 절차 적용과 점검 주기 미준수, 정비 기록 부실 등의 규칙 위반 사례에 대한 처분과 즉각적인 시정조치를 시행한다. 더불어 항공기가 비행 전후로는 충분한 정비시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운항 주기 점검 등 가동률 관리 강화로 과도한 운항을 방지한다.
또 항공 종사자 관리 수준을 높이고 안전투자 및 안전성 평가제도도 개선한다. 기업결합 항공사에 대해서는 취항 초기 항공사 감독 수준으로 특별관리할 예정이다.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제 강화 등 위험물 운송관리 강화를 위한 조치에도 나선다. 보조배터리 돌출 단자에 캡이 없는 경우에는 테이프를 감거나 비닐봉투에 보관하도록 한다. 항공사의 위험물 운송 기준 이행 점검도 실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지난 4일 발족한 항공안전혁신위원회의 채연석 위원장이 외부 전문가로서 전문조직·인력확충 및 시설·인프라 개선 등의 개혁을 요구하는 정책을 제언한다.
국토부는 이번 결의대회에서 발표할 항공안전 관리 강화방안과 함께 항공안전 혁신위원회(격주 개최)와 분과별회의(매주 개최) 결과를 바탕으로 항공 전 분야에 걸친 항공안전 혁신안을 수립한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