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자산성장 급브레이크 은행권, 내년은 빙하기다

  • 2015.12.18(금) 11:20

경제성장률 정도만 성장...내년 자본 부담 커져 부담 늘어
경기침체로 대·중소기업 리스크 커지고 가계대출도 깐깐

올 한해 가계대출과 소호대출을 중심으로 자산을 큰 폭으로 늘렸던 은행들이 내년엔 옴짝달싹 못할 판이다.

강화된 자본규제로 운신의 폭이 크지 않다. 경기전망도 어두워 대기업과 중소기업, 가계 어느 한 곳 대출을 해주기 쉽지 않은 형편이다. 올해 자산성장에 크게 기여했던 가계대출은 내년부터 대출 심사가 깐깐해지고, 무엇보다 부동산시장이 올해같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더욱 늘리기 어렵게 됐다. 

이런 영업환경에 비춰 은행들은 내년에 빙하기를 맞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겨울이라면 봄이 온다는 기대감을 갖게 하지만 빙하기는 영원한 겨울이다. 이러한 무시무시한 얘기는 실제 은행권에서 나오는 얘기다. 은행들은 내년 자산성장 목표를 현상유지 혹은 경제성장률 정도로 잡고 있다.

 

▲ 영화 투모로우의 한 장면



◇ 경제성장률 정도의 성장만 

기획재정부가 최근 발표한 내년도 경제정책방향에서 내년 성장 목표를 3%대로 잡았다. 은행권의 자산성장도 이와 비슷한 속도로 움직일 것이라는 예상이다. 올해 은행권 자산성장 속도를 생각하면 급 브레이크를 밟는 셈이다.

KEB하나은행 고위관계자는 "내년도 은행 자산성장은 경제성장률 이상으론 힘들다"고 말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도 "상환되는 범위 내에서 취급하는 정도가 될 것 같다"며 "현상유지이거나 경제성장률 정도"라고 말했다.

특히 우리은행의 이러한 분위기는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지난해말 취임일성으로 매년 15조 원씩의 자산 성장을 약속했던 점에 비춰보면 완전히 달라진 것이다. 15조 원의 자산 확대는 성장률로 치면 대략 5~6% 정도 된다. 그나마 우리은행은 올해 원화대출을 10% 이상 늘리는 등 큰 폭의 자산성장을 했던 점에 위안을 삼고 있다.

 



◇ 자산 늘릴수록 커지는 자본 부담

이런 분위기는 다른 은행들도 마찬가지다. 은행들이 이처럼 보수적으로 내년 목표를 잡은 데에는 내년부터 자본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자산을 늘리면 늘릴 수록 쌓아야 할 자본도 늘어난다.

금융위원회는 어제(17일) 은행업과 금융지주회사 감독규정을 개정해 시스템적 중요 은행(은행지주)에 내년부터 추가자본 0.25%를 적립하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했다. 내년부터 0.25%씩 오는 2019년까지 총 1%를 쌓아야 한다. KB금융지주, 신한지주, 하나금융, 우리은행 등이 해당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의 결정에 따라 경기대응완충자본 0~2.5%를 부과할 수도 있다. 이외에 모든 은행은 자본보전완충자본을 내년부터 0.625%씩 오는 2019년까지 총 2.5%를 쌓아야 한다. 최근 진웅섭 금융감독원장 주재로 열린 은행장 대토론회에서 김한 전북은행장은 이에 대한 지방은행의 부담을 언급하면서, 도입을 미뤄줄 것을 건의하기도 했다.

복수의 시중은행 고위관계자도 "내년에 자본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자산을 많이 늘릴 수 없다"고 토로했다.

◇ 마지막 보루 집단대출? 더이상 아니다 

자본 부담뿐 아니라 경제여건을 보더라도 자산을 확대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는 데에도 공감하고 있다. 올해는 정부 정책 등에 힘입은 부동산 시장 활황으로 은행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은 올해들어 10월까지 30조 5000억 원이나 증가했다. 올해 안심전환대출 취급으로 인한 주택금융공사 양도분까지 포함하면 그 규모는 더 늘어난다. 

하지만 내년 2월부터는 정부의 여신심사 선진화 방안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심사가 깐깐해지면서 한도가 줄어드는 등 대출 받기도 힘들어진다. 미국 금리 인상 등과 맞물려 부동산 시장도 올해같지는 않을 전망이다.

그나마 집단대출은 이런 규제에서 벗어나 있고, 리스크도 덜 하다는 평가이지만 올해처럼 은행들이 경쟁적으로 나서기는 힘들다는 분위기다. 부동산 경기와 맞물린 리스크관리 차원도 있지만 최근들어선 은행 수익 차원에서도 크게 이득이 되지 않는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은행 한 여신담당자는 "리스크가 적은 만큼 마진도 작아 순이자마진(NIM)을 떨어지게 만들고, 과거엔 분양자를 고객으로 유치해 부수거래 효과를 얻었지만 요즘은 계좌이동제 시행 등으로 부수거래 효과도 크지 않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