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4차 산업혁명' 경쟁력 25위..."변해야 산다"

  • 2016.08.15(월) 11:15

현대경제연구원, 한국 기업 생태계 역동성 떨어져
미래 변화 예측 등 정부·기업·개인 선제 대응 필요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경쟁력이 세계 25위에 불과할 정도로 다른 주요국에 비해 준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려면 미래 변화를 예측하려는 노력과 함께 기업은 물론 정부와 개인 모두의 선제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4차 산업혁명은 미증유의 혁명

현대경제연구원은 15일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3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생물학, 물리학 등의 경계가 없어지고 융합되는 기술 혁명을 4차 산업혁명으로 정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은 파괴적 기술에 의한 산업재편과 전반적인 시스템 변화 등 속도와 범위, 영향력 등 측면에서 3차 산업혁명과 차별화되고, 인류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시대를 접하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이 경제와 산업구조, 노동시장 등 다양한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 측면에선 공유 경제와 온디멘드 경제를 이용한 산업이 부상하고, 노동시장에선 전문 기술직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고, 단순직 일자리는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기술 변화로 선진국과 신흥국을 포함한 15개국에서 약 200만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기지만, 약 70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전체적으로는 약 500만 개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 4차 산업혁명 준비는 태부족

4차 산업혁명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준비는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이 한국과 독일, 일본, 미국, 중국 등의 상장기업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의 매출 증가율이 하락하고, 영업이익률도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등 전반적으로 성과가 악화하는 추세를 보였다.

기업 생태계의 역동성도 부족했다. 주요국에선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의 등장과 발전으로 신생 기업의 진입과 기존 기업의 퇴출이 반복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 기업 교체율이 낮아 역동성이 떨어졌다.

우리나라는 2015년 기준으로 기술적 하드웨어와 장비부문의 비중이 19.8%에 달할 정도로 4차 산업혁명 관련 부문에서도 주요국보다 특정산업에 대한 집중도가 높았다.

실제로 스위스 UBS의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경쟁력 순위는 25위에 그쳤다. 스위스와 미국, 일본, 독일 등이 상위권에 포진했고, 중국은 28위를 기록했다.

◇ 정부, 기업, 개인 모두 선제 대응 필요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 경쟁력을 높이려면 산업구조와 노동시장 변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우선 중장기적 비전과 전략을 수립할 때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미래 변화 예측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고용 전반과 필요한 직무역량의 변화에 대해 개인과 기업, 정부의 선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기업들은 공유경제와 온디맨드 경제 등 기술 기반 플랫폼 사업에 대해 포괄적 시각과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앞장서서 규제와 세제 등을 기업 친화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면서 “특히 진입과 퇴출 장벽을 제거하고, 연관 산업의 자원을 재분배하는 등 기업의 활력을 높이기 위한 법제도 차원의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