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은행 수장들은 일자리를 강조하는 문재인 정부와 보조를 맞춰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금호타이어, 성동조선해양 등 구조조정기업의 채권단은 구조조정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 일자리 최대한 유지하자는 국책은행
이동걸 회장은 지난 11일 취임식에서 기자들에게 "일자리가 10~20년 갈 기업이라면 끌고 가야 국가와 지역경제, 채권단에 좋다"고 말했다. 은성수 행장도 15일 취임사에서 "시장 친화적 구조조정을 하되 일자리를 최대한 유지해 부정적인 영향을 줄여야 한다"고 밝혔다.
국책은행 수장들이 일자리 중심 구조조정을 강조하는 건 문재인 정부의 핵심 과제인 고용 창출을 의식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금융권에 신입사원 채용 확대, 일자리 창출기업 지원 등으로 국정과제에 동참할 것을 주문했다. 이제는 일자리 부담이 구조조정까지 확대되는 모양새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금호타이어, 성동조선해양 등 구조조정기업의 주채권은행이다. 구조조정 관련 의사결정을 주도하기 때문에 다른 채권은행들도 이들의 방침을 따라야 한다. 하지만 구조조정은 인력 감축을 필히 동반하는 만큼 논란이 예상된다.
다만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구조조정기업 관리방안을 좀 더 들여다봐야 한다"면서 "경제적 타당성, 지역경제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방향을 극단적으로 정해두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 "수주도 안 되는데..." 뿔난 채권단
구조조정기업의 채권단은 부정적 시각을 드러냈다. 일자리를 지나치게 강조했다가 구조조정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 금호타이어 채권단 관계자는 "선제적 구조조정을 하면 부득이하게 인력을 줄이지만 장기적으로 일자리를 만들어낸다"고 말했다. 구조조정이 일자리에 앞선다는 얘기다.
그는 또 "정부와 국책은행이 일자리 '유지'도 일종의 일자리 '창출'이라고 판단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당장의 일자리 감소를 막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 자칫 사라질 일자리를 유지하는데 목 매느라 구조조정을 그르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구조조정기업의 장기 전망 자체도 어둡다. 조선과 해운기업의 경우 ▲중국에 가격, 기술력 등에서 밀리고 ▲2008~2009년 같은 활황을 기대하기 어려워 ▲장기적으로 일자리를 만들 수 없을 것이라는 진단도 나온다.
성동조선해양 채권단 관계자는 "수주가 안 되는데 뭘 어떡하자는 건지 모르겠다"며 "과거에도 노동조합을 의식하느라 중소 조선사 통폐합 작업을 진행하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이 관계자는 "회사와 일자리를 모두 살리는 묘수가 있다면 좋겠지만 그런 건 없다"고 했다.
성동조선해양 채권단 관계자는 "수주가 안 되는데 뭘 어떡하자는 건지 모르겠다"며 "과거에도 노동조합을 의식하느라 중소 조선사 통폐합 작업을 진행하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이 관계자는 "회사와 일자리를 모두 살리는 묘수가 있다면 좋겠지만 그런 건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