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헤어질 결심' 금감원 MZ직원 잡을 묘수가, 화장실 가림막 커튼?

  • 2024.06.12(수) 10:36

지난해 금감원 퇴사자 중 20대 14% 달해
상대적으로 낮은 연봉 인상…"현실적 어려움"
'비급여성 복지' 궁여지책…조직진단 외부컨설팅도

# 전화부스 추가 설치, 화장실 가림막 커튼, 5G 통신망 구축, 업무용 PC 성능 개선, 부서별 커피머신 비치, 컴퓨터 단말기 유발 질환(VDT 증후군) 예방 아이템…… 최근 금융감독원 총무국은 이런 내용의 근무환경 개선 프로젝트 추진 상황을 알렸다. 비교적 낮은 연봉·승진 적체현상 등으로 로스쿨이나 민간 금융사로 떠나는 MZ(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세대 직원들이 많아지자 비급여성 복지를 우선 넓히겠다는 것이다. 급여를 비롯한 현금성 처우 개선이 당장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생각보다 젊은 직원들 반응이 뜨겁지 않다는 게 금감원 내부 목소리다. 금감원 한 직원은 "직원들의 사기진작을 위해선 보다 파격적인 복지 혜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지난 3월 말 금감원은 '휴직자의 신분 및 준수사항' 인사관리 규정을 추가했다. 휴직기간 중 인사연수 국장에게 정기적으로 복무상황을 보고하고, 당초 휴직 목적에 위배되는 일을 해선 안 된다는 게 주된 개정 내용이다. 한 직원이 육아휴직을 내고 로스쿨을 다니다가 적발된 뒤 금감원이 발칵 뒤집어졌고 이후 이런 규정이 더해졌다는 게 내부 전언이다. 다만 한쪽에선 이를 개인의 일탈로만 치부할 수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금감원뿐 아니라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 등 전체적인 공직사회가 사명감과 충성심만 강조하는 방식으론 더 이상 직원들을 붙잡아두기 어렵다는 데 공감하고 있어서다.

금감원은 민간으로 떠나는 MZ 세대를 잡기 위해 고심하고 있지만, 뾰족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21대 국회에서 홍성국 당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감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퇴직자 49명 중 20대가 7명(14.2%)으로 나타났다. 2013~2020년 퇴직자 중 20대는 아예 없거나 1~2명에 불과했다. 그런데 2021년 4명, 2022년 5명에서 지난해에는 더 늘어난 것이다.

금융감독원 정규직 직원 평균보수/그래픽=비즈워치

젊은 직원이 공통적으로 문제 삼는 건 민간 금융사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연봉과 강한 업무 강도, 보수적인 조직문화다. 특히 연봉에 대한 불만이 크다. 금감원 경영정보공개에 따르면 지난해 금감원 정규직 직원의 평균 보수는 1억1000만원으로 나타났다. 피감기관인 은행이나 증권, 보험 등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가령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 직원의 작년 평균 연봉은 1억1600만원으로 집계됐다. 4대 금융지주사 평균 연봉은 1억7100만원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의 경우 2억원에 육박했다. 최근 3년간 금감원 직원 평균 보수액 증가율이 약 1.25%라는 점을 고려하면, 민간 금융사들을 단숨에 따라잡는 게 불가능한 실정이다.

금감원 예산은 금융사들이 분담하지만, 금융위 통제 아래 있다. 연봉 인상은 기획재정부의 가이드라인을 적용받는다. 여기에 금감원 직원 연봉 인상은 공무원 연봉 인상률을 초과할 수 없도록 돼 있어 큰 금전적 개선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금감원 다른 직원은 "윤석열 사단 막내로 불리는 '실세' 이복현 원장 취임 이후 금융위·국회와 긴장 구도가 형성됐다"며 "연봉인상은 커녕 '이복현 이후'를 걱정하는 직원들이 늘어났다"고 토로했다.

문제는 민간보다 뛰어난 '맨파워(인재)'를 기반으로 시장을 관리·감독했던 금융당국의 전문성과 업무 연속성이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이다. 비슷한 현상이 벌어지던 해외 금융당국은 독립적인 급여체계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지난 3월 미 증권감독기구인 'FINRA'는 '유능한 직원 보유를 위해 자본시장과 비교해 경쟁력 있는 보상체계 추구'를 장기 재정운영원칙에 집어넣은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은 의회가 제도개선에 나섰다. 금융감독청(FCA) 퇴사율이 2022년 약 15.2%에 달하면서다. 감독기구의 우수인력 유지를 위해선 급여 수준 결정의 재량권 허용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2002년부터 입법을 통해 급여 수준을 자체적으로 결정하고 있다.

젊은 퇴사자가 잇따르자 금감원은 7년 만에 처음으로 조직진단 관련 외부 컨설팅을 의뢰했다. 시대변화 등을 반영해 전략, 조직, 인사·문화 등 3개 부문에서 금감원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안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