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대한항공·KCC·하이트진로…유동비율 불안불안

  • 2020.04.17(금) 14:51

시총 100대 기업 유동비율 분석해보니
유동비율 마지노선 100% 아래 기업 28곳
코로나19로 경영 실적 악화로 설상가상

"어떤 회사의 대차대조표를 단 1초만 볼 수 있다면 단기적인 부채상환 능력을 본다. 즉, 유동자산과 유동부채의 비율을 보는 것이다."

2010년에 발간된 '1초만에 재무제표 읽는 법'의 내용 중 일부분이다. 경영 컨설턴트 저자(고미야 가즈요시)가 유동비율을 가장 중요하게 꼽는 이유는 간단하다. 아무리 실적이 좋더라도 빚을 갚지 못하면 도산하기 때문이다. 이른바 '흑자도산'이다.

유동비율은 1년안에 현금화 할 수 있는 '유동자산'을 1년안에 갚아야할 '유동부채'로 나눈 것이다. 유동비율이 200%가 넘으면 단기 채무 상황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100~200%는 보통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문제는 그 아래다. 유동비율이 100% 아래로 떨어졌다고 당장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예기치 못한 위기가 발생하면 유동성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전세계 경제가 마비된 지금 유동비율이 주목해야하는 이유다. 과거에 단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위기에 어느 기업이 쓰러질지 예측하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유동비율은 기업의 유동성 리스크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유용한 지표다.

◇ 시총 100대 기업 유동비율 보니

비즈니스워치는 유가증권 시가총액 100대 기업의 유동비율을 산출했다. 연결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하되 은행 등 금융회사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100개 기업중 유동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대한항공이었다. 지난해 대한항공의 유동부채는 8조7773억원으로 유동자산(3조5747억원)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유동비율은 40.7%에 머물렀다.

단순히 유동비율이 낮다고 유동성 위기에 처했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 업계 특성 등을 감안해야 한다. 수천억원대 항공기를 리스로 빌리는 항공업계는 빚이 많은 대표적인 업계다. 실제로 대한항공이 사상최대 당기순이익을 낸 2017년 유동비율은 52.7%에 머물렀다.

하지만 코로나19가 덮친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당장 올해 중에 갚아야할 부채가 3조7500억원에 이르지만 코로나 여파로 부채 만기 연장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올 한해 영업적자가 1조원대에 이를 것이란 분석이 나오면서 위기감은 높아지고 있다.

GS리테일(45%)과 코웨이(48.3%)도 유동비율이 40%대에 머물렀다. 업계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GS리테일보다 코웨이의 유동비율에 더 주목해야 한다.

코웨이의 유동비율은 2015년 138.2%, 2016년 99.7%, 2017년 70.4%, 2018년 68.4%, 2019년 48.3% 등 매년 감소 추세다. 유동비율이 급감한 이유는 유동부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유동부채 중 단기차입금은 2015년 800억원에서 지난해 8606억원으로 4년 만에 10배 넘게 증가했다.

반면 GS리테일은 유동비율이 낮은 유통업계 특수성을 고려하면 유동비율에 큰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외상으로 물건을 들여와 파는 유통업의 특성상 매입채무가 많아 유동비율이 낮은 편이다. 다만 신세계 57.7%, 이마트 67.5%, 롯데쇼핑 74.4%, BGF리테일 78.3%, 현대백화점 94.6% 등 동종업계 중에서도 유동비율이 낮다는 점은 부담이다.

효성 58.6%, GS 65.1%, 롯데지주 82.6%, CJ 86.6%, 한화 95.3% 등 지주사도 유동비율에 경고등이 들어왔다. 사업회사를 거느린 지주사라고 해서 유동비율이 낮은 것은 아니다. SK(112.6%), 현대중공업지주(123.8%), LG(175.5%), 휠라홀딩스(182.9%) 등은 유동비율이 모두 100%를 넘어 안정적이었다.

하이트진로도 유동비율(57.6%)이 낮은 편이다. CJ제일제당(90.6%), 오뚜기(127.6%), 오리온(128.4%), 농심(184.4%) 등 식음료회사와 비교하면 하이트진로 유동비율에 빨간불이 들어온 셈이다.

KCC도 유동비율 흐름이 좋지 않다. 2015년 160.4%, 2016년 136.4%, 2017년 94.2%, 2018년 186%, 2019년 70.6% 등으로 지난해 유동비율이 급격히 낮아졌다. 2019년 단기차입금은 1조1902억원으로 일년전보다 2배 늘었고 기타부채는 1조2059억원으로 3.5배 급증했다. 기타부채가 늘어난 것은 미지급금(1조1275억원)이 일년새 4.3배 증가했기 때문이다.

유동비율이 40~50%대로 낮은 기업중에 지난해 당기순손실을 낸 회사들도 있다. 대한한공 -5687억원, KCC –2219억원, 하이트진로 –424억원 등이다. 단기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진 가운데 실적까지 악화된 이중고를 겪고 있는 셈이다.

◇ 항공·자동차 업계 유동비율은

코로나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산업군의 유동비율도 점검해봤다.

우선 코로나19 여파로 전세계 하늘길이 끊겨버린 항공업계다.

시가총액 100대 유동비율 '꼴등' 대한항공보다 이스타항공(29.4%)과 아시아나항공(34.2%)의 유동비율이 더 나빴다. 유동성 위기에 경고등이 켜진 이스타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각각 제주항공과 HDC현대산업개발에 팔렸다.

아시아나항공 계열의 에어부산(41.4%)과 에어서울(48.6%)도 유동비율이 저조했다. 제주항공(81.9%), 티웨이항공(99.2%), 진에어(115.3%) 등은 그나마 유동비율이 안정적이었지만 코로나로 항공업계가 셧다운된 상황에서 안심할 수 없다.

코로나19로 공장 가동이 중단되고 수요가 줄고 있는 자동차 업계는 유동비율이 양호한 편이었다. 한국GM 106.1%, 기아차 124.8%, 현대차 142.7%, 르노삼성 201.7% 등 완성차 업계의 유동비율은 100%를 넘었다.

반면 쌍용차의 유동비율은 50.4%로 위험한 상황이다. 쌍용차의 대주주인 마힌드라&마힌드라는 최근 400억원을 긴급 수혈하면서 정상화방안을 찾고 있다.

문제는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올해 상반기다. 유동비율이 낮아 재무 건전성이 나쁜 기업이 실적까지 악화되면 최악의 경우까지 대비해야 하는 상황이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