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영풍의 환경오염 관련 회계상 문제점에 대해 현장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영풍이 올해 환경개선을 위해 쌓은 충당부채가 '1억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나며 주목받고 있다. 영풍이 그간 연간 1000억원의 환경투자 비용을 지출한다고 밝힌 만큼 뒤늦게 4분기 중 충당부채를 추가로 설정할 경우 수익성 악화 우려도 나온다.
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영풍이 올해 3분기까지 새롭게 쌓은 환경 관련 충당부채는 1억3232만원이었다. 영풍의 환경 관련 충당부채는 △토지정화 △복구 △반출 △지하수정화 등 총 네 종류다. 이 가운데 복구 충당부채만 쌓았고 나머지 3개 항목에서 새롭게 쌓은 충당부채는 0원이었다.
복구 충당부채란 하천 복구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쌓는 돈을 말한다. 영풍의 최대 사업장인 석포제련소는 낙동강 최상류에 위치해 있어 환경오염에 대한 책임 의무가 있다. 이를 이행하기 위한 하천 복구 등의 비용으로 올해는 1억원민 쌓은 것이다.
업계에서는 영풍이 최근 3분기 영업적자 원인으로 '연간 1000억원의 환경개선 투자'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힌 것과 달리 추가 충당부채가 1억원만 발생한 것을 주시하고 있다. 추가 충당부채를 영업외비용으로 인식했다 해도, 순이익 급감 원인으로 보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영풍이 충당부채 논란에 대해 이를 명확히 해명해야 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영풍은 기존에 구축한 설비인 무방류시스템 운영에 들어가는 100억원의 비용까지 합했을 시 매년 환경개선 투자금이 1000억원이 넘는다고 하는데, 시설 운영비를 투자금으로 보기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영풍이 논란을 의식해 4분기 환경개선 충당부채를 크게 늘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앞서 지난 28일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은 영풍의 환경오염 관련 회계상 문제점을 언급하며 현장조사 착수했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이 원장은 "영풍 측에 환경오염 이슈 관련 손상차손 미인식의 회계상 문제점을 발견했다"며 "현재 금감원은 이를 감리로 전환해 현장조사에 착수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4분기 중 1000억원에 육박하는 비용이 새롭게 추가될 경우 수익성이 크게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앞서 영풍은 2020년 처음으로 토지 정화와 석포제련소 주변의 하천 복구를 위해 총 608억원의 충당부채를 설정했고 이후 환경오염물질 처리와 지하수 정화·복구 비용이 추가되면서 2021년에 806억원, 2022년에 1036억원, 2023년에 853억원, 2024년에 1억원의 충당부채를 추가로 설정했다. 이는 연평균 661억원 규모로 1000억원에는 크게 못미친다.
영풍이 환경 개선을 제대로 하고 있지 않다는 지적은 정치권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실이 환경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석포제련소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1년 8개월간 처리한 제련 잔재물의 비중은 전체 잔재물의 23.7%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