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파트너스가 2년 전 고려아연과 비밀유지계약(NDA)을 맺고 신사업과 관련한 내부 자료를 넘겨받은 후 돌연 적대적 M&A에 나섰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당시 고려아연 신사업의 재정적 지원을 도울 후보군으로 거론되면서 해당 자료를 받았지만 투자에 나서지 않고 비밀유지계약 종료 후 나선 적대적 M&A 과정에서 관련 정보를 활용했을 가능성이다.

1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MBK는 지난 2022년 고려아연으로부터 신사업의 세부 사업 자료를 넘겨받아 재무적 투자를 검토했으나 최종적으로 투자에 참여하지 않았다. 당시 내부 자료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이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외부에 알리지 않겠다는 비밀 유지 계약서에 서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MBK는 고려아연으로부터 받은 자료의 세부 내용 일체를 비밀로 하는 내용과 이를 별도로 활용하지 않겠다는 사실에 모두 동의했다. 특히 비공개 매수 등 경영권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내용도 계약서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 계약은 지난 5월 종료됐다.
MBK가 영풍과 손잡고 고려아연에 대한 공개매수를 시작한 시점은 9월초다. 비밀유지계약이 종료된 후 석 달여 만에 영풍과 복잡하고 다양한 조건의 경영협력계약을 체결한 것인데 이 계약이 수개월 이상 논의된 뒤 진행됐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앞서 장형진 영풍 고문은 MBK와 논의를 시작한 시점에 대해 간접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 그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고려아연의 한화·현대차 신주 발행과 지분 교환 등을 거론하며 "(영풍 경영진이) '우리도 수단을 강구해야겠다'라고 하니 '그러면 한번 생각해 봐라. 어떤 좋은 생각이 있겠냐' 그랬다. 그러다가 MBK에 가서 상담을 하고 경영협력계약을 하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에서는 MBK가 고려아연으로부터 받은 기밀 자료를 이번 인수 계획 수립에 활용했는지 여부도 주목하고 있다. 해당 자료에 고려아연의 신사업 내용이 상세히 적혀 있고 그간 MBK와 영풍이 줄곧 고려아연의 신사업 투자를 문제 삼아왔다는 점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MBK가 적대적 M&A 과정에서 줄곧 기업구조 개선을 강조하고 있는데 해당 의혹은 이런 명분을 훼손시킬 수 있다"며 "기업들로서는 MBK 등 금융 자본을 경계할 가능성이 크고,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들도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