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증권+핀테크` 해외 성공조합 봤더니

  • 2015.01.31(토) 10:53

브로커리지 기반확대 도움..자산관리 서비스 적용 가능
인터넷전문은행 진출도 활발..국내서 성공 전망은 분분

금융업 전반에 핀테크 열풍이 불면서 증권업계도 이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뜨겁다. 최근 금융투자협회가 주최한 핀테크 세미나에는 업계 관계자들로 인산인해를 이뤄, 세간의 관심을 반영했다. 

 

이미 증권업계는 최첨단 정보기술(IT)이 가장 깊숙히 침투한 곳이다. 그럼에도 핀테크는 새로운 기회로 주목받고 있다. 단순히 수수료 절감을 통한 고객확보보다 핀테크를 어떤 식으로 접목해 신규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다. 핀테크로 성공을 거둔 해외 사례를 들여다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다. 

 

◇ 신규거래 창출로 브로커리지 기반 확대 

 

증권업계의 오랜 먹거리였던 브로커리지는 수수료 급감과 거래감소와 맞물려 이제는 `비중을 줄여야 할 분야`가 됐다. 이런 암울한 분위기속서 핀테크를 통해 브로커리지에서도 전에 없는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는 기대가 움트고 있다. 거래 활성화 전반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논리에서다.

 

핀테크는 수수료 절감과 함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이전보다 더 많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미국 온라인증권사인 이트레이드나 스콧트레이드 등은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를 통해 젊은층을 공략했다.

 

소셜트레이딩과 결합된 브로커리지는 증권사들의 파이를 빼앗아 갈 수도 있지만 전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면서 거래활성화에 기여하는 측면도 무시 못한다. 2007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이토로나 미국의 투자자문사 코베스타는 모두 소설트레이딩 서비스로 대량의 유저를 보유, 증권거래 전반에 기여했다.

 

국내에서는 아직 낮은 수수료로 성과는 미미하지만 다음카카오와 증권사 협력모델인 증권플러스가 서서히 주목받고 있다. 두나무 측은 중장기적으로 증권플러스가 전에 없던 수요를 창출하면서 증시 거래 증가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을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 자산관리 서비스 확대 주도할 듯

 

증권업계가 가장 주목하는 핀테크 접목 분야는 전문성이 돋보이는 자산관리다. 자산운용 관리에 핀테크 기술을 도입하면 보다 정교한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해외에서도 자산관리와 핀테크의 결합 성공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웰스프론트는 상장지수펀드(ETF)만을 대상으로 한 알고리즘 기반의 투자일임 서비스를 제공해 2년 반만에 10억달러의 운용자산을 모았다. 베터먼트란 미국 온라인 자산운용사도 알고리즘에 의해 글로벌 자산배분 기능을 제공한다.

 

마켓라이더스란 업체는 정기구독방식의 소프트웨어 기반 포트폴리오 자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퓨처어드바이저 업체는 개인투자성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운용기법과 투자 플랫폼을 제공한다. 상대적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영국의 마킷 역시 빅데이터 기반의 금융정보 분석 리서치를 제공한다. 

 

이들 가운데는 증권사나 운용사가 아닌 곳이 더 많지만 국내 증권사들이 이들처럼 핀테크를 자산관리에 적극 활용해 수익기회를 발굴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할 전망이다.

 

◇ 인터넷은행 등 영역확장 발판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인터넷은행처럼 증권사의 영역 자체를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제로 미국 인터넷전문은행은 대형 상업은행보다 찰스스왑이나 이트레이드 등 비은행 금융사들이 주도했다.

 

브로커리지 회사인 찰스스왑은 인터넷전문은행인 찰스스왑뱅크를 설립했고 지난해 3월말 기준으로 미국 1위 인터넷전문은행이다. 국내에서는 키움증권이 인터넷은행 설립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다만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우 기존 상업은행들과 다양한 IT기업들까지 진출에 나설 수 있어 국내에서 과연 성공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분분하다. 국내의 경우 금산분리로 산업계 진출이 당장은 어렵겠지만 해외에서는 제너럴모터스(GM)나 BMW 등이 얼라이뱅크와 BMW뱅크를 각각 설립해 운영하는 등 인터넷은행 역시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는 "미국의 경우 설립 초기는 고정비용과 고객확보를 위한 마케팅비용 투입으로 재무상태가 좋지 못해 2년을 넘기지 못한 사례가 빈번했다"며 "2000년 중반 이후 일부 선도 인터넷은행을 중심으로 기존 은행들을 위협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