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유상호 "인터넷은행 활성화 의문..법 새로 만들어야"

  • 2015.01.29(목) 17:14

[금투협 핀테크 세미나]
"기존 은행의 인터넷 서비스 강화에 그칠수도"
정유신 "시장파이를 키우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은행계열이 없는 금융전업사 계열 중 하나인 한국투자증권의 유상호 사장이 인터넷은행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유상호 사장은 29일 금융투자협회가 주최한 '핀테크 시대 도래에 따른 금융투자업권의 대응' 세미나 패널토론에서 "이미 국내 증권업계는 정보기술(IT) 활용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다"며 "핀테크 개념이 도입된다고 새로운 것이 쏟아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 사장은 "새로운 결제시스템이 들어오더라도 이미 수수료가 떨어질대로 떨어진 상황에서 이를 낮추기는 쉽지 않다"며 "브로커리지 부문의 경우 이미 IT화가 많이 진행됐기 때문에 다양화하고 고도화되는 정도가 아닐까 한다"고 분석했다. 온라인 자산관리 서비스 역시 고도의 자산관리와 저가의 서비스 수수료가 상충되는 측면이 있다고 덧붙였다.

 

인터넷은행 활성화에도 의문이 표시했다. 그는 "각종 영업 규제나 은행을 공공재로 보는 시각, 기존 대형은행들의 텃새에 밀려 자리를 잡기 어려울 수 있다"며 "신규 인터넷은행이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기존 은행들의 인터넷 서비스 강화에 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 사장은 또 "인터넷은행 설립 시 필요한 막대한 금융결제망 수수료를 감당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라며 "인터넷은행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저축은행법처럼 관련법을 새롭게 만드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사장도 권역을 넘어선 상상력을 강조했다. 그는 "어떻게 부가가치와 상상력을 최대화할지 고민해야 한다"며 "법과 제도에 맞추기 보다는 기존의 법을 뛰어넘는 생각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차문현 펀드온라인코리아 사장도 "기존에 수탁고가 4000억원에 불과했던 중소형증권사가 핀테크가 접목된 펀드슈퍼마켓이 나온 후 6배나 수탁고가 증가한 것은 핀테크가 산업을 정상적으로 발전시켜주는 예로 볼 수 있다"며 "모든 참여자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차 사장은 비용절감 등을 위해 업계의 공동 플랫폼 개발이나 콜라보레이션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송치형 두나무 사장 역시 "브로커리지 핀테크로 출발한지 1년 가까이 된 후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당장은 미미하지만 1%의 거래점유율은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고 보며, 궁극적으로 증권사 수익성 증가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했다.

 

김재윤 위버플 사장도 "핀테크의 일종인 로봇어드바이저 등은 증권사나 프라이빗뱅커(PB)가 커버할 수 없는 젊은층의 고객에게도 맞춤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며 핀테크 기술의 장점을 설파했다.

 

감독당국 입장에서 토론에 참여한 이은태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는 "감독자로서는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도입 당시와 비슷한 우려를 가질 수밖에 없다"며 "새로운 기술 적용 여지가 구체화될 수 있는지에 대해 관전하는 입장이며 좋은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핀테크 적용에 있어 규제의 문제도 있겠지만 업계간 정보공유를 꺼리는 등 규제 이외의 분야에서도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정유신 서강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핀테크 확대 추세와 금융투자회사의 대응방안' 강연에서 금융투자업이 한계에 봉착한 상황에서 핀테크에 대한 적극적인 생각이 의미가 있다고 판단했다.

 

정 교수는 "일부에서는 금융투자업에 도전으로 인식되지만 핀테크를 통해 금융소비 증진과 시장소비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며 "시장 파이를 키울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투자업의 핀테크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브로커리지 부문에서 편의성 제고와 거래 활성화로 신규 브로커리지 확대가 가능하고 자산관리 역시 시장잠식이 아닌 새로운 고객을 늘릴 수 있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정 교수는 "핀테크의 백본이 되는 핵심 인프라인 빅데이터 분석과 보안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지만 한국은 두 부분이 차단돼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며 "데이터 구축이나 공개, 보안에 대한 규제가 풀려야 하며 집중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정책 디자인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또 "금융중개와 결제, 제조 대기업과 IT 플랫폼 등의 구별을 통해 금산분리 등에 대한 시장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