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금융사 ELS 자율배상" 바람 드러낸 이복현…이달말 기준 마련

  • 2024.02.05(월) 14:24

ELS 불완전판매 확인…이달말 책임분담 기준 마련
"금융사 인정하는 부분, 자발적 배상했으면"
"부실PF 정리 적기…자금시장 선순환 복구"

"손해 일부라도 (배상)할 수 있다면 소비자는 유동성이 생겨 좋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이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홍콩 H지수 ELS(주가연계증권) 불완전 판매와 관련해 일부 사실을 인정한 금융사들은 분쟁조정절차에 앞서 자율적으로 배상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란 의견을 피력했다. 다만 이와 관련해 금융사들과 직접적인 소통은 없었다는 입장이다.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의 경우 부실 사업장을 신속히 정리할 수 있는 적기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묶여 있는 자금이 성장성 있는 곳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돈맥경화 현상을 막아 금융 기능 회복에 주력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복현 원장은 5일 '2024 금융감독원 업무계획' 브리핑에서 H지수 ELS 불완전 판매 검사와 배상안 마련 등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지난 달 8일 부터 11개 주요 판매사에 대한 현장검사와 민원조사에 착수해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설 연휴(9일) 전까지 각 금융사별 문제점을 유형화·체계화하고 연휴가 끝나면 2차 현장검사 등을 통해 이달 말까지 책임 분담 기준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이복현 원장은 금융사들이 합리적 의사결정을 통해 자발적으로 투자자들의 일부 손해에 대한 배상이 이뤄지길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원장은 "검사 진행 과정에서 일부 금융사도 인정하는 부분이 있어 자발적으로 일부라도 배상한다면 소비자는 유동성이 생겨 좋을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생각"이라며 "자율배상이 진행되면 분쟁조정절차도 빨라져 개인 부담도 줄이고 소비자 체감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사와 구체적으로 의견 교환을 한 것은 아니지만 (관련 사안을) 준비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이복현 원장의 이 같은 발언이 금융사에 대한 압박일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자체 배상안 마련은 해당 금융사의 내부의사 결정 사안"이라며 "(자체배상 하지 않는다고해서) 특정 불이익은 전혀 없고 분쟁조정 이슈 절차가 끝나기 전 일부 금융사가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 지급하고 나머지는 법적 절차를 통해서 가린 적도 꽤 있다"고 설명했다.

투자자 책임과 관련해선 재판매의 경우에도 불완전 판매가 이뤄졌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ELS는 오랜 기간 운영하는 상품인 만큼 여러 차례 가입해 상품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것이란 인식으로 불완전 판매가 아닐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 원장은 "재가입 하는 경우 (상품에 대해) 알 것이라는 인식이 있는데 최초 가입 시 리스크가 고지 됐는지, 이전에 일부 이익을 본 것이 재가입 권유 명분으로 간이 절차로 한 것이 아닌지 볼 필요가 있다"며 "앞서 가입 때 리스크 고지가 안된 상태에서 이후 재가입 때 그냥 넘어갔다면 소비자 책임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비자 전체 자산 구성과 규모에 따라 적절한 권유가 이뤄진 것인지, 원금이나 그에 준하는 자금이 필요하면 이에 대한 설명과 권유가 있었는지 등 구매 권유 담당자가 고민을 해야 한다는 게 금융소비자보호법 정신"이라며 "이 부분을 면밀히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부동산 PF 부실사업장에 대해선 신속한 정리를 다시한번 강조했다. 그 동안 SVB(실리콘밸리은행) 사태와 새마을금고 이슈, 미국 국공채 금리 상승에 따른 시장금리가 흔들리는 상황 등으로 인해 부실 PF의 신속한 정리가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었지만 현재는 국채금리 안정 등 금리가 더 오르지 않을 것이라는 시장 인식으로 사업장 정리의 적기가 왔다는 게 이 원장 생각이다.

이복현 원장은 "(부실 사업장을) 재평가해서 시장이 소화하는 방식으로 정리하면 속도를 내는 순기능이 있다"며 "너무 늦어지면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이나 사업성이 있는 부동산 개발 등 금융이 필요한 곳에 자금이 묶여 돈이 나가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실물경기가 살아나는 시기에 자금 공급이 원활해지려면 (부실PF 사업장 정리) 시간 여유가 많지 않다"며 "시장이 받쳐줄지는 또 다른 문제지만 (부실 사업장 정리 지연이) 시장 문제가 아니라 이해관계에 의한 것이라면 뚫고 가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태영건설 워크아웃이 부동산 PF 우려를 촉발한 만큼 금감원도 부실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등에 주력하고 있다. 현 상황에선 태영건설 수준으로 시장에 충격을 줄 정도의 부실 건설사는 없다는 게 금감원 설명이다.

이복현 원장은 "많게는 수십개에서 중점적으로는 10여 건설사를 챙겨보고 있다"며 "완전히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시장에 충격을 줄 정도로 유동성 준비가 되지 않은 곳은 없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