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新성장동력]④'LNG발전' 블루오션이 되다

  • 2014.04.09(수) 08:13

'블랙아웃' 이후 민자발전 부문 주목
포스코·GS·SK 등 LNG발전사업 '확대'

대한민국은 여름만 되면 '블랙 아웃' 공포에 휩싸인다. 정부는 연일 전력 수급 상황 체크에 나서고  주식 시장에서는 전력 관련주들이 관심을 받는다.
 
지난 2011년 9월에 있었던 사상 초유의 '블랙 아웃' 사태를 경험한 터라 그 공포감은 더욱 크다. 공기처럼 아무 생각없이 펑펑 써댔던 전기가 바닥이 날 수도 있다는 사실은 충격이었다. 
 
◇ LNG 민자발전이 각광 받는 까닭
 
블랙 아웃 공포 속에서 민자 발전(IPP·Independent Power Plant)은 한줄기 빛이다. 한국전력의 전력 생산 부족분을 민자 발전이 채워주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민자 발전 사업의 주류는 LNG(액화천연가스)를 중심으로 한 복합화력 발전이다. 복합화력 발전은 천연가스나 경유 등을 사용해 1차로 가스터빈을 돌려 발전한다. 이후 가스터빈에서 나오는 배기가스 열을 동력원으로 해 2차로 증기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방식이다.

▲ LNG 복합 화력 발전 공정(자료:포스코에너지).

복합화력은 두 차례에 걸쳐 발전하기 때문에 기존 화력발전보다 열효율이 10%정도 높다. 또 공해가 적고 정지했다가 다시 가동하는 시간이 짧다. 발전소 건설기간도 유연탄 화력발전소의 3분의 1수준이다.
 
국내 대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는 LNG복합화력 발전은 LNG를 연료로 한 복합화력 발전이다. LNG발전은 투자 규모에 비해 수익성이 좋다. 원자력이나 화력발전에 비해 운용도 쉽고 20~30년간 사용할 수 있다.
 
LNG는 한국가스공사가 공급한다. 최근에는 일부 민자 발전회사들이 직접 수입에 나서고 있다. 발전용 LNG는 민간 기업에서도 수입이 가능하다. 가스공사에서 공급하는 가격의 3분의 1수준으로 수입한다. 여러모로 기업들에게는 유리한 조건이다.
 
◇ 2차 에너지 기본계획..LNG 발전 '청신호'
 
LNG발전의 시장 전망은 밝은 편이다. 지난 1월 정부는 제2차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주된 내용은 오는 2035년까지 원전 비중을 전체 발전 규모의 29% 수준으로 잡았다. 1차 기본계획의 41%에 비해 크게 하향 조정됐다.
 
대신 민자 발전 사업자들이 참여하고 있는 LNG 비중을 높였다. 원전과 신재생에너지를 제외한 기타 발전 비중을 기존 48%에서 60%로 확대키로 한 것이다. 이는 곧 석탄과 LNG발전 비중이 늘어난다는 의미다.

▲ 자료:민간발전협회(단위:백만TOE)
    *TOE(Ton of Oil Equivalent):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에너지원의 발열량을 석유의
      발열량으로 환산한 석유환산톤.

또 오는 2035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15%를 분산형 전원으로 공급하기로 했다. 즉 집중 발전시스템에서 벗어나 사업장별 자가 발전시스템 확충을 유도하겠다는 의미다. 아울러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보호에도 중점을 두기로 했다. LNG발전은 이 모든 조건을 충족한다.
 
아울러 정부는 발전용 LNG에 대한 과세 완화는 물론 설치비 지원 등의 인센티브 방안을 연내 확정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민자 발전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은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민간발전협회 관계자는 "자가발전의 설치 유도와 집단 에너지 확대정책은 향후 민자 발전이 더욱 활기를 찾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포스코·GS·SK, 발전 사업 '확대'..건설사도 '눈독'
 
국내에서 민자 발전 사업을 가장 활발하게 펼치고 있는 곳은 포스코다. 포스코는 포스코에너지를 통해 LNG복합화력 발전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현재 LNG복합화력 발전소 6기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서 생산되는 전력은 연간 3052MW다. 수도권 전체 전력 수요의 16.5%에 해당한다. 국내 LNG복합발전 기업 중 최대 설비용량을 확보하고 있다.
 
아울러 포스코에너지는 노후된 1~2호기의 전력 생산을 중단하고 내년에 7~9호기 준공을 추진중이다. 7~9호기가 가동하면 총 생산전력은 3412MW로 늘어난다.

▲ GS EPS LNG 복합 화력 발전소.

포스코에너지의 설비용량을 바짝 추격하고 있는 곳은 GS다. GS EPS는 총 3기의 LNG복합화력 발전소를 보유하고 있다. 총 설비용량은 1503MW다. GS는 천연가스 열병합 발전을 하는 GS파워와 LNG복합화력 발전의 GS ESP를 통해 국내 민자 발전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계획이다. 작년 말 STX에너지를 인수해 석탄 화력발전 부문과의 시너지도 기대하고 있다.
 
SK도 SK E&S를 통해 LNG복합화력 발전사업에 진출한 상태다. 현재 2기의 LNG복합화력 발전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총 설비용량은 1907MW다. SK는 인도네시아를 통해 LNG를 직수입하고 있다.
 
건설사들도 발전 사업에 뛰어들었다.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의 탈출구로 발전 사업을 선택했다. 발전소 건설·운영은 장기 수익 확보가 가능한 사업이다. 규모가 큰 발전소의 경우 연간 1조원 이상의 매출이 가능하다. 건설사들이 발전사업을 선택한 이유다.  
 
대우건설은 오는 2016년 완공을 목표로 경기도 포천 신북면에 900MW 규모의 LNG복합화력 발전소를 건설 중이다. 대림산업과 태영건설도 경기도 포천 창수면에 1560MW 규모의 LNG복합화력 발전소를 짓고 있다. 삼성물산은 현대산업개발과 함께 경기도 동두천에 1716MW 규모의 LNG복합화력 발전소를 건설 중이다. 
 
◇ 지나친 전력 요금 규제는 '걸림돌'
 
하지만 LNG복합화력 발전 확산에도 걸림돌은 있다. 정부의 지나친 전력 가격 규제로 LNG발전 사업자들의 수익성이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대표적인 것이 '정산 상한 가격제'다.
 
'정산 상한 가격제'는 정부에서 민자발전 사업자의 초과 수익을 합리적 수준에서 제한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다. 한전이 민자 발전소로부터 사오는 전력가격에 상한선을 매긴 것이다. 내년 2월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 업계에서는 정부의 지나친 전력 가격 규제로 새로운 성장동력인 민간 발전산업의 확산이 저해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국회에서는 '정산 상한 가격제'의 상시 적용을 위한 법안이 상정돼 있는 상태다. 이 법안이 통과될 경우 민자발전 사업자들의 수익성은 큰 타격을 입는다. LNG가격이 올라도 이를 가격에 반영할 수 없는 구조가 되기 때문이다.
 
김광인 숭실대 교수는 "전기요금이 정책적으로 억제되는 상황에서 현행 전력거래제도로는 한전과 발전사업자 간 리스크 분담의 불균형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며 "국제 연료가격 상승에 따른 공급비용 증가분 반영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는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전력 공급원가와 무관하게 전력수급계획 평가를 통해 지나치게 규제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규제를 완화하고 시장 논리에 맞게 요금을 현실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