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정기 인사철이 돌아왔다. 이른바 '최순실 게이트'로 주요그룹 들의 분위기가 어수선한 상태지만 예년과 비슷한 시기에 인사가 단행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올해도 가장 주목받는 대목은 삼성의 인사다. 이재용 부회장이 삼성전자 등기이사로 선임되는 등 공식적으로 경영전면에 나선 만큼 사장단 및 주요 임원 인사를 통해 어떤 색깔을 보여줄 것인지 관심이 높다.
판매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현대차는 이미 중국과 한국 수장들을 교체했다. 특유의 수시인사가 실시되는 만큼 올해도 비슷한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SK나 LG 역시 얼마나 변화를 줄 것인지에 초점이 맞춰진다.
◇ 삼성, 내달초 인사..승진폭 최소화
삼성그룹은 예년처럼 12월초에 정기 사장단 인사를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은 지난 2014년과 2015년 연속 사장단 인사를 12월1일에 실시했다. 이후 주요 임원에 대한 후속 인사 등을 통해 신년부터 새로운 체제를 가동하는 방식이었다.
다만 올해는 변수가 있다. 이른바 최순실 게이트 사건이다. 삼성은 최순실씨 딸인 정유라씨에 대한 지원과 관련한 의혹을 받고 있고, 검찰 수사가 진행중이다. 이재용 부회장,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에 이어 미래전략실 장충기 사장까지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를 받았다.
한때 주변에서는 인사가 지연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삼성은 예년처럼 진행할 태세다. 삼성 관계자는 "내년을 준비해야 하는 시점인 만큼 정기인사를 미뤄선 안된다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삼성 인사는 그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지난 10월말 이재용 부회장이 삼성전자 등기이사로 선임되며 이사회에 진입한 만큼 새로운 체제를 가동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그룹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 개편 등과 같은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일단 전체적인 인사 기조는 승진폭을 최소화하는 분위기다. 저성과자 정리와 승진폭 최소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임원진 규모를 줄여나가는 작업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삼성전자 사업부문별로는 갤럭시노트7 이슈와 관련된 경영진들이 관심사다.
반도체 등 성과가 나쁘지 않았던 사업부의 분위기는 무선사업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나쁘지 않은 상황이다. 만일 미래전략실 변화 등의 의사결정이 이뤄지면 사장단을 포함한 고위 경영진들의 이동도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현대차, 수시인사..SK·LG 변화 주목
현대차그룹은 필요시 수시 인사를 통해 경영진을 교체한 만큼 변화의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올해도 예년처럼 12월말에 정기인사가 실시될 전망이다. 현대차는 이미 지난 10월 판매부진 타개를 위해 중국과 한국 판매 수장들을 교체한 상태다. 중국 주요법인 경영진과 한국 판매를 담당하는 국내영업본부장에 새로운 인물들이 임명됐다.
SK그룹의 인사도 주목받고 있다. 최태원 회장이 경영에 복귀한 후 실질적으로 처음 단행되는 사장단 인사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 회장이 계열사 CEO들에게 수차례 변화를 강조한 만큼 정기인사에서 적지않은 변화가 생길 것이란 관측들이 제기됐다.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 위원장들의 교체 가능성이 거론되기도 했다. 당초 SK그룹이 정기인사를 앞당길 것이란 관측도 나왔지만 예년처럼 12월 중순에 정기인사가 실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4대그룹중 가장 먼저 사장단 인사를 단행해왔던 LG그룹은 11월말에서 12월초에 정기인사가 실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해 구본준 부회장이 지주회사로 자리를 옮기는 등 변화가 적지 않았던 만큼 올해는 변수들이 많지 않다는 관측들이 나온다. 다만 사업이 부진한 계열사나 사업본부 등에 대한 쇄신인사가 이뤄질 가능성은 남아있다는 관측이다.
현대중공업은 이미 지난 10월 선제적 인사를 실시한 상태다. 최길선 대표이사 회장이 물러나고 권오갑 대표이사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아울러 강환구 현대미포조선 사장을 현대중공업 사장으로 임명, 권 부회장과 투톱 체제를 갖췄다. 전체 임원도 20% 가량 교체하고, 최근 사업부별로 분사를 추진하는 등 체질개선에 돌입한 상태다.
한화그룹도 금춘수 경영기획실 사장을 부회장으로 승진시키고, 일부 계열사 대표이사를 교체하는 사장단 인사를 지난 10월에 단행했다. 내년 사업계획을 조기 수립해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다.
재계 관계자는 "미국 대선 결과, 최순실 게이트 등 다양한 변수들이 제기되면서 내년 사업계획 수립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주변 상황 등을 고려할 경우 변화보다는 안정쪽으로 무게가 실리지 않겠냐는 관측들이 많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