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육상·해저 넘나드는 LS에코에너지…'2030년 2.5배 성장' 자신

  • 2024.05.30(목) 14:37

2030년 매출 1.8조 달성 목표 
전선·해저·희토류 삼각편대 구축
"올해 실적 사상 최대 달성할 것"

/그래픽=비즈워치

LS전선의 아시아 사업부인 'LS에코에너지'가 오는 2030년까지 매출을 2.5배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기존 강점인 전선사업을 확대함과 동시에 신성장동력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신사업으로는 '희토류 영구자석'을 지목했다.

베트남에 생산시설을 둔 LS에코에너지는 LS전선의 첫 해외 초고압케이블 생산거점이다. 베트남 시장 진출 이후 1위 전선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으며, 현 매출의 30%는 북미·유럽 수출이 차지하고 있다.

'캐즘 없는 성장' 중장기 전략 살펴보니

LS에코에너지 사업 전략./그래픽=비즈워치

LS에코에너지는 30일 열린 '밸류업 데이(Value-up Day)'에서 중장기 성장전략을 공식화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이상호 LS에코에너지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 향후 15년 이상 대규모 전력 수요가 지속될 것"이라며 "전선사업을 확대하고, 희토류 영구자석 사업을 추진해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없는 성장을 이어 가겠다"고 말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매출 7000억원에서 2030년 1조8000억원으로, 2.5배 성장을 이루겠다는 복안이다.

우선 이 대표는 전선사업에서 유럽 및 북미 수출을 보다 늘리겠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전기차및 인공지능(AI) 발전으로 글로벌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유럽과 북미 지역 내 재생에너지 수요가 크게 상승하고 있다는 이유를 들었다. 실제 유럽엔 글로벌 풍력발전단지의 75%가 몰려 있다.

무엇보다 해상풍력 수요가 크게 늘고 있어 해저케이블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해저케이블'이 해상풍력 산업에서의 필수 요소인 만큼 이는 곧 전선사업 성장이 크게 늘어날 것이란 판단으로 이어졌다.

LS에코에너지는 지난 30년간 베트남 내 전력케이블 분야에서 1위를 이어온 만큼 베트남을 생산거점으로 활용, 노동력 및 원자재를 토대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아울러 모회사인 LS전선과 기술 협력을 보다 공고히 할 예정이다. 

"이미 미국 투자를 확정, 투자 보조금을 확보했고 베트남 및 유럽 내 해저케이블 공장 건립을 검토 중"이라는 게 이 대표 설명이다. 

30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LS에코에너지 밸류업 데이(Value-up Day)'에서 이상호 대표이사가 중장기 성장전략과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사진=LS에코에너지

이어 LS에코에너지는 희토류를 신사업으로 추진키로 했다. 베트남을 중심으로 희토류 영구자석 사업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베트남은 희토류 매장량 2위 국가다.

이를 위해 LS에코에너지는 국내 기업 최초로 베트남에서 대규모 희토류 산화물을 확보하고 LS전선과 희토류 금속공장을 건설, 영구자석 제조로 이어지는 밸류체인 구축을 진행 중이다.

최근 글로벌 에너지 안보 이슈가 떠오르면서 대중(對中)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려는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다. LS에코에너지 역시 해당 공장에서 생산된 금속 부품을 LS에코첨단소재에 공급, 희토류 탈중국화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이 대표는 "전기차 및 해상풍력 설비 증가 등으로 네오디뮴 영구자석의 수요가 2050년경 현재의 6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며 "기존 사업을 확대하고 신사업을 추진해 지속성장이 가능한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대표는 올해 실적에도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 그는 "올해 실적은 사상 최대치를 경신할 것"이라며 "내부 실적 목표치도 올려잡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증권가도 이러한 전망에 힘을 싣는다. 올해 해저케이블 공급 부족 현상이 이어지면서 실적 성장세를 탈 것이란 예상이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해저케이블 공급부족 이어지는 가운데, 유럽 수주의 수익성도 개선되고 있다"며 "이러한 시장의 수혜를 기반으로 올해 LS에코에너지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