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정밀이 오는 3월 영풍 주주총회에서 집중투표제 도입을 요청하면서 실제 통과 여부에 관심이 모아진다. 업계에서는 3%룰 적용으로 영풍 측의 의결권이 제한되고 자산운용사와 소액주주들의 지지가 더해질 경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https://cdn.bizwatch.co.kr/news/photo/2024/03/22/678a54d2d697249eee71ed1ed7c23ec8.jpg)
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영풍 주주인 영풍정밀은 집중투표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정관 변경 안건과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 분리 선출 안건을 제시했다. 모든 주주의 이익을 제고할 수 있도록 소수주주 이익을 대변하는 후보자가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취지에서다.
특히 고려아연에서도 도입한 집중투표제 안건 통과 여부가 주목되는데 업계에서는 3%룰을 감안할 경우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집중투표제를 도입하려면 현재 영풍 정관에 규정된 집중투표제 배제 조항을 삭제해야 한다. 정관 변경은 주총 특별결의 사항으로 출석주주 의결권 3분의 2 이상, 발행주식 총수 3분의 1 이상 찬성이 필요하다.
3%룰에 따르면 상법 제542조의7 집중투표에 관한 특례 조항에 따라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 총수의 3%를 초과하는 주식을 가진 주주는 그 초과분에 관해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영풍의 전체 발행주식 184만2040주 가운데 3% 초과분, 자기주식 등 의결권이 제한되는 주식 등을 제외하면 의결권이 있는 주식 수는 약 80만주로 추산되는데 3%룰을 적용하면 지배주주 장씨 가문과 그 계열사 지분율은 50%대에서 20%대로 낮아진다.
작년 12월 말 기준 장형진 고문의 장남 장세준 코리아써키트 부회장, 차남 장세환 영풍이앤이 부회장, 장녀 장혜선씨, 부인 김혜경 여사 등 장씨 일가를 비롯해 △영풍개발 △씨케이 △에이치씨 등 계열사가 보유한 영풍 지분율은 52.65%(96만9799주)에 달한다.
그러나 3%룰 기준으로 지분율을 환산하면 장세준 부회장(16.89%), 영풍개발(15.53%), 장세환 부회장(11.83%), 씨케이(6.45%) 등의 지분율 3% 초과분에 대한 의결권이 제한되면서 20%대 후반 수준까지 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소액주주연대, 국내외 자산운용사 등에서 영풍의 거버넌스 개선을 촉구하고 있는 만큼 출석주주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하는 특별결의 요건의 의결권이 모아질 가능성이 상당히 열려있는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앞서 행동주의펀드인 머스트자산운용은 10년간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있는 영풍에 대해 자사주 소각과 액면분할을 요구하고 나섰다. 머스트자산운용은 "영풍은 기업 거버넌스와 지배구조, 주주가치 개선에 대해 자본시장으로부터 여러 지적을 받아왔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주주권익 보호 전문가 등 사외이사 후보 3명을 주주제안으로 추천했다. 특히 자산총액 2조원이 넘는 상장사에 여성 이사가 한 명도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여성인 지현영 변호사는 귀중한 후보라고 밝히기도 했다.
영풍정밀에 더해 소액주주연대도 지난해 말부터 영풍의 지배구조 개선을 촉구해 왔다. 지난달 주주행동 플랫폼 '액트' 운용사 컨두잇은 영풍 소수주주를 대표해 강성두 사장을 수신인으로 하는 공개 주주서한을 발송했다.
당시 컨두잇은 영풍 주가가 부진한 원인으로 △지속적인 환경·안전 사고 △주력사업 성과 부진 △주요 자산 처분의 불투명성 △주주환원 미흡 등을 지적하고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원칙 확립과 구체적 실현 계획 수립 등의 해법 실천을 제안했다.
업계 관계자는 "상당수의 일반주주들이 영풍 거버넌스 개선과 환경, 안전 사고, 사업부진을 질타하고 있는 만큼 집중투표제 도입을 막으려는 영풍 측과 치열한 표싸움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