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코넥스, 미워하면 안돼요’ 거래소·금융위 한 목소리

  • 2013.07.06(토) 17:48

코넥스 시장에 대한 10가지 오해와 진실’ 발표

5일 한국거래소와 금융위원회가 공동으로 ‘코넥스 시장에 대한 10가지 오해와 진실’이란 보도자료를 냈다. 지난 1일 개장한 중소기업 전용시장 코넥스 시장의 부진한 거래량에 대한 언론의 보도가 이어지자 이에대한 해명이다.  “언론 등에서 제기된 문제점 중 사실과 다르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내용이 있다”며 “이제 막 첫걸음을 내딛은 만큼 섣부른 판단을 자제해 달라”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실제로 코넥스 시장은 개장 첫날 13억원에 이르던 거래대금이 5일 1억9750만원대로 급감하면서 우려가 섞인 목소리가 언론을 통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거래소와 금융위가 언론까지 거론하며 보도자료는 낸 것은 이례적이다. 그 만큼 코넥스 시장의 의미가 크다는 방증으로 보인다.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의 핵심 추진 사항인 코넥스가 초반부터 삐걱거린 것에 대한 두 정부기관의 초조함이 묻어난 보도자료란 얘기다.

아래는 거래소와 금융위가 스스로 만든 10가지 코넥스의 오해와 진실이다.

첫 번째 오해는 코넥스를 코스피나 코스닥과 비교해 거래량, 거래대금, 거래종목 등이 극히 부진한 ‘실패한 시장’으로 단정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반박 근거로 최초 상장기업수가 21개에 불과하고 개설한지 얼마되지 않았으며, 개인투자자의 직접투자가 제한돼 있고 코넥스에 투자하는 공모펀드가 아직 출시되지 않은 점을 제시했다. 또 기관 투자자들은 단기 차익보다 장기투자하는 성향이 있고, 대주주 지분비율이 높은 코넥스 특성상 매도 물량이 적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두 번째 코넥스가 장외 주식시장 프리보드의 재판(再版)이라는 오해다. 코넥스가 중소기업 시장 활성화를 2005년 도입됐다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에 빠진 프리보드의 전철을 밟을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다. 이에 대해 거래소 측은 “코넥스는 상장기업의 주식을 거래하는 정규시장인 반면, 프리보드는 비상장 장외주식을 거래하는 호가중개시스템이라는 본질적 차이가 있다”며 “특히 코넥스는 해외 시장의 성공 실패 사례 등을 면밀히 분석해 설계한 ‘준비된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세 번째 오해는 코넥스를 개설이 아닌, 코스닥 개편이 바람직한 대안이라는 것이다. 거래소 측은 “개인 투자자가 참여하는 코스닥 시장의 성격상 성장초기 창의적 벤처기업에 대해 인내하는 모험자본(Risk Capital)의 원활한 공급이 곤란하다”며 “코넥스 대신 코스닥 진입 요건 완화를 통해 그 기능을 대체할 경우 투자 전문성, 위험 감내능력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개인 투자자의 피해가 우려된다”고 반박했다.

코스닥에 상장할 기업들이 공시부담 등 규제회피를 목적으로 코넥스에 상장한다는 게 네 번째 오해다. 거래소 측은 “이번 코넥스 상장기업의 대부분은 성장성은 있으나, 영업실적 및 수익 안정성 측면에서 코스닥 상장요건을 총족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넥스와 코스닥에 대한 시장평판 및 자금조달 용이성 등 차이를 감안할 때, 코스닥 상장가능 기업이 코넥스 상장을 추진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거래소 측은 해명했다.

다섯 번째 오해는 코넥스 시장이 투자자보호의 사각지대라는 점이다. 이에 대해 거래소 측은 “예탁금 3억원 미만의 개인투자자는 코넥스 시장 참여가 제한하고, 공시규제가 완화되었지만 투자자의 투자판단에 필요한 핵심정보는 예전과 동일하게 그대로 공시하는 등 투자자 보호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보완장치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거래소 측은 코넥스 시장을 투기세력이 이용할 가능성, 코넥스 시장은 부자들만 이용 가능, 코넥스 투자는 투기와 다름 없음, 대주주의 재산증식 또는 우회상장 수단으로 이용될 소지, 창조경제의 성과를 위해 코넥스를 의도적으로 육성 등의 오해가 있다고 지적했다.

거래소 측은 “코넥스 시장의 도입은 창조경제의 외형적 성과를 위한 것이 아니라, 혁신형 중소 벤처기업 육성을 통한 우리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