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확산으로 국내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시장은 오랜 정체기에 빠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료방송 역시 5G를 통한 ICT 성장에 동참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7일 서울 마포가든호텔에서 열린 '2020년 방송통신 시장 전망 컨퍼런스'에서 발제를 맡은 천혜선 미디어미래연구소 센터장은 "지난 7년간 유료방송 가입자수를 보면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며 "방송 상품이 워낙 저가이기 때문에 코드 커팅이 일어나지 않고 근근히 유지되는 형태로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런 형태의 구조가 이뤄졌다는 것은 대부분 사업자들이 가입자 수신료를 증가시키기 위한 성장형 전략보다는 가입자 수를 놓고 서로 경쟁하는 축소형 성장을 이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규제에 얽매여 있는 방송산업의 특성에 따른 문제라기 보다는 산업 내부의 혁신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곽동균 정보통신정책연구원도 "국내 케이블 위축이 다른 나라보다 빠른 것은 제도에 기반한 점이 있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지만 산업적 혁신이 부족했던 면이 있다"며 동의했다.
그러면서도 규제 산업의 특성을 무시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무조건 사업자 탓으로만 돌릴 수 없는 것도 사실"이라며 "정부가 어떤 면으로든 책임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렇다면 오는 2020년 방송통신 시장이 나아갈 방향은 무엇일까. 권오상 미디어미래연구소 센터장은 5G를 꼽았다.
권오상 센터장은 "내년부터 신경써야하는 것은 5G"라며 "반드시 해답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새로운 성장의 축으로 떠오른 5G로 동력을 삼아야 유료방송도 살아남을 수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AI, 빅데이터 등의 기술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5G의 B2C 서비스로 꼽히는 AR·VR에 어떠한 스토리텔링을 접목해 일반 소비자와 접목시킬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미디어 사업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곽동균 연구원은 "미디어 사업은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외 다른 경제원리가 적용되지 않는다"며 "이를 죄악으로 여겨서는 답이 없어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정부의 역할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그는 "미디어 도입 초기 만들어졌던 관행들이 지금도 유지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며 "이제는 '무엇을 할지'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할지' 규제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첨언했다.
한편, 이날 축사에서 김성진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회장은 "OTT 서비스가 시장을 혁명적으로 바꾸면서 우리는 토종브랜드인 웨이브와 왓챠 등으로 국내 시장을 방어하고 해외 시장을 공략하는 목표를 세우고 있지만 전망이 밝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제언했다.
또 "케이블TV는 변화에 적응할 것인지, 전통 미디어에 머물 것인지 준엄한 선택을 요구받고 있다"며 "오늘 논의를 통해 변화의 국면에 있는 케이블TV가 신산업과 함께 새로운 경쟁력 갖춰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