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이비엘바이오가 글로벌 빅파마(거대 제약사)를 대상으로 총 4조원 규모의 플랫폼(원천기술) 기술 이전 계약을 달성했다. 빅파마를 사로잡은 기술은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개발 플랫폼인 '그랩바디-B'다. 뇌질환 약물 개발의 가장 큰 난관인 뇌혈관장벽(BBB)를 극복할 수 있는 차별성을 갖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7일 영국계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에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 플랫폼인 그랩바디-B를 총 계약 규모 21억4010만파운드(4조1000억원)에 이전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20년 알테오젠이 미국의 머크와 체결한 4조7000억원대 플랫폼 기술 이전에 이어 역대 두번째로 큰 규모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3850만파운드(730억원)의 계약금을 포함해 총 7710만파운드(1500억원)을 수일 내 수령할 예정이다. GSK가 개발한 약물이 상업화되면 합의된 비율에 따라 로열티(판매 수수료)도 받을 수 있다.
양사가 맺은 계약은 GSK가 보유한 복수의 신규 타깃 후보물질에 그랩바디-B를 적용할 수 있도록 관련 독점 권리를 이전하는 내용이다. GSK가 개발할 약물에는 항체 치료제뿐만 아니라 siRNA(짧은 간섭 리보핵산), ASO(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등 유전자 기반의 치료제도 포함돼 있다.
이번 건은 에이비엘바이오가 그랩바디-B를 활용해 이룬 두 번째 빅 딜이다. 앞서 에이비엘바이오는 2022년 프랑스계 빅파마인 사노피에 이 플랫폼을 적용한 파킨슨병 치료후보물질 'ABL-301'을 10억6000만달러(1조5000억원)에 이전한 바 있다.
그랩바디-B는 'IGF1R(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수용체)'를 활용해 뇌에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이중항체 기반의 플랫폼이다. 약물이 뇌 내피세포 표면에 발현한 IGF1R과 결합해 외부물질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뇌혈관장벽(BBB)을 통과해 뇌에 전달되는 원리다.
에이비엘바이오 관계자는 "IGF1R 기반 BBB 셔틀로서는 글로벌 최초의 플랫폼 기술이전"이라며 "플랫폼 기술이전인 만큼 무한한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크리스토퍼 오스틴 GSK 연구기술 부문 수석부사장은 "이번 계약은 BBB를 극복하고 이러한 치명적인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혁신적인 플랫폼 기술을 모색하려는 우리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며 "이 플랫폼은 GSK의 차세대 파이프라인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 말했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그랩바디-B의 사업화를 통해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에이비엘바이오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그랩바디-B의 적용 가능 모달리티를 확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번 파트너십이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고 전 세계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