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우후죽순' 드러그스토어, 골목상권 '야금야금'

  • 2014.09.02(화) 16:55

규제없이 5년새 4배로 늘어..소상인들 금전적 피해도
화장품·약국까지 문닫아..업계 "골목상권과 무관" 항변

 

서울 마포구 홍익대 주변은 드러그스토어의 대표적 격전지다.

홍대입구역에서 홍익대로 가는 길에 올리브영(CJ) 매장 4곳이 자리잡고 있고 왓슨스(GS) 3곳, 롭스(롯데) 2곳, 어바웃미(삼양) 1 곳 등 어림잡아 10여곳이 영업중이다. 유동인구가 많고 젊은층이 모이는 곳이라해도 과열경쟁이 우려될 정도로 곳곳에 드러그스토어가 포진해있다. 업계 관계자는 "자존심이 걸린 문제라 수익이 낮더라도 포기할 수 없는 상권"이라고 했다.

문제는 드러그스토어가 전국에 우후죽순 생기면서 골목상권 침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중소기업청이 김제남 정의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CJ와 GS 등 대기업이 출점한 드러그스토어는 2009년 153개에서 올해 7월에는 669개로 약 4배로 늘어났다. 김 의원은 "슬그머니 드러그스토어로 주력 간판을 바꿔 단 유통 대기업들에 대한 신속하고 근본적인 규제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매장수가 가장 많은 곳은 CJ그룹의 올리브영으로 388개를 운영 중이고, GS그룹의 왓슨스(93개), 롯데그룹 롭스(16개), 이마트 분스(6개) 순을 이루고 있다. 코오롱은 W스토어(158개), 농심은 메가마트 판도라(8개)를 통해 약국 중심인, 강한 전통적 의미의 드러그스토어를 하고 있다.

약(Drug)과 매장(Store)의 합성어인 드러그스토어는 해외에선 약국 기능이 강하지만 우리나라는 의약품 판매규제로 화장품과 건강보조식품, 생활용품, 식품을 파는 '헬스&뷰티' 전문점 형태로 발전했다. 이렇다보니 동네 화장품점과 슈퍼마켓과 별 차이가 없는 매장형태를 띠고 있다.

특히 대기업이 운영하는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이 월 2회 휴무 등 영업규제를 받는 것과 달리 드러그스토어는 별다른 규제를  받지 않고 성장해 골목상권을 위협하는 새로운 존재로 지목받고 있다.

중기청이 지난해 4월부터 40일간 드러그스토어 반경 800m 이내 소매상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도 이 같은 우려가 반영돼있다.

소매점포 727개 중 절반이 넘는 369개(51.5%) 점포가 '금전적 피해가 있었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드러그스토어 출점 전에 비해 월평균 214만원 가량 매출이 줄었다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화장품점이 가장 많은 피해를 봤고, 입지별로는 도로변 일반상점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드러그스토어는 약국 문을 닫게 하는 요인으로도 거론된다. 드러그스토어는 약을 팔아 매출을 올리는 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감기약·소화제 등 안전상비의약품도 24시간 운영하는 편의점 점포에만 허용돼 드러그스토어에선 취급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드러그스토어 확대와 약국 폐점이 비슷한 시기에 맞물리면서 '헬스&뷰티'를 표방하는 드러그스토어가 약국시장까지 잠식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김 의원에게 제출한 ‘약국의 개폐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09년 한해 동안 전국에서 폐점한 약국은 1553개였던데 비해 지난해는 1739개가 문을 닫았다. 김 의원은 "드러그스토어가 약국의 건강기능성 식품 영역을 빼앗은 것이 약국 폐점의 주된 요인"이라고 말했다.

드러그스토어 업계는 점포확대와 골목상권 침해는 무관하다고 항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우리의 출점대상 지역은 유동인구가 많은 대로변이나 버스정류장 등이라 골목상권 침해와는 무관하다"며 "건강식품 비중도 10% 안팎이라 드러그스토어가 약국 매출을 잠식한다는 우려도 지나치게 부풀린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