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규제 맞고]프랜차이즈가 '갑질' 단골이 된 까닭

  • 2017.07.04(화) 14:32

본사, 로열티보다 물류유통 마진으로 수익내
식자재 등 마진율 높여 공급하다 '갑질 논란'
"모든 본사는 갑질 시선 억울"..이익공유모델 주목

새 정부가 기업들의 불공정행위와 거래관행을 청산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특히 유통·식품·제약 등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다양한 규제 이슈가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규제 이슈와 맞물려 기업들의 상생 노력도 더욱 구체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규제 맞고] 코너를 통해 다양한 규제이슈를 꼼꼼하게 따져보고, [상생 맞손] 코너를 통해 기업들이 어떤 상생노력과 성과를 내고 있는지 동시에 조명해본다. [편집자] 


요즘 프랜차이즈 업계는 초상집 분위기다. 소위 '갑질'의 대명사로 부각되면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어서다. 억울한 측면도 있다. 일부 업체들의 잘못된 행태가 업계 전체 문제인것처럼 인식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역풍을 우려해 내색도 하지 못하고 있다. 

프랜차이즈 업계가 항상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서는건 구조적인 한계 때문이다. 본사가 우월적인 지위를 갖게 되는 구조다. 가맹점들은 일정정도 사업성이 검증되고 인지도가 있는 본사 브랜드에 기댈 수 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갑을관계'가 형성된다.

◇ 본사가 '갑'인 이유

국내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수익의 대부분을 가입비 등 초기 가맹점 개설수익이나 유통물류 마진에 의존하고 있다. 미국 등의 프랜차이즈가 수익의 대부분을 로열티수입에서 거두는 반면 국내 프랜차이즈는 유통물류마진 비중이 높다. 대표적인 것이 식재료다.

한국외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의 매출 대비 식재료비 비율은 평균 42.53%다.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은 식재료들을 대부분 가맹본부에서 구입한다. 가맹본부가 공급하는 식재료값이 시중가격보다 높은 것이 갑질 논란을 불러온다. 미스터피자의 경우도 가맹본부가 시중 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식재료를 구입하도록 요구했다는 의혹에 대해 검찰조사를 받고 있다.

▲ 자료:한국외식산업연구원(단위:%).

반면 프랜차이즈가 아닌 식음료업체의 매출 대비 식재료비 비율은 평균 40.09%였다. 비프랜차이즈는 식재료를 가맹본부가 아닌 인근 시장 등에서 직접 싸게 구입한다. 식재료비의 차이는 식재료비와 인건비를 합한 '프라임 코스트(Prime cost)'에도 영향을 미친다. 연구원에 따르면 프랜차이즈의 영업비용 대비 프라임 코스트는 77.3%였던 반면 비프랜차이즈의 경우 74.62%였다.

프라임 코스트의 차이는 결국 수익에 직결된다. 프랜차이즈의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은 16.94%였다. 비프랜차이즈는 18.39%였다. 매출은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많았다. 프랜차이즈는 연평균 1억7173만원, 비프랜차이즈는 1억1072만원이었다. 결국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매출은 많지만 이익률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구조인 셈이다.

◇ 본사도 할말은 있다

프랜차이즈 본사는 가맹점에 공급하는 식자재 등에 마진을 붙인다. 마진을 붙여야만 가맹본부를 운영하고 가맹점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브랜드 홍보도 가능해진다. 브랜드 파워에 의존하고 있는 많은 가맹점들을 위해 가맹본부가 해야 할 일들이다. 식자재 마진은 가장 중요한 재원이 된다. 문제가 되는건 마진율 때문이다.

한 프랜차이즈 관계자는 "프랜차이즈 본사도 회사고 수익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익을 남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유통물류 마진을 붙이는 것은 그 일환"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부 몰지각한 가맹본부가 말도 안되는 고마진을 붙이면서 프랜차이즈업계 전체가 욕을 먹고 있다. 많은 업체들은 가맹점과의 상생을 늘 고민한다"고 말했다.

▲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일부 업체들로 인해 업계 전체가 비난을 받고 있다"며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사진=이명근 기자/qwe123@)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본사는 갑, 가맹점은 을이라는 프레임이 굳어져 있는데 사실 본사 입장에서도 억울한 부분이 많다"면서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가장 핵심은 어떤 가맹점이든 동일한 맛을 내야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일부 가맹점들은 필수 재료조차 구입하지 않고 멋대로 재료를 구입해 사용한다. 맛이 달라지면 소비자가 제일 먼저 안다. 소비자가 발길을 끊으면 본사도 가맹점도 모두 죽는다"고 토로했다.

한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 관계자도 "경쟁업체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높으려면 비중이 높은 식자재를 대량으로 구입해 단가를 낮춰야 한다"며 "이를 가맹점에서 100% 소화해준다면 가능하다. 이런 선순환이 돼야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일부 가맹점들은 이를 거부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가겠다고 한다. 이에 대한 대가는 본사와 다른 가맹점이 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 두바퀴로 굴러가는 프랜차이즈…'이익공유 모델' 주목 

프랜차이즈는 기본적으로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상생이 돼야 성공할 수 있는 구조다. 프랜차이즈의 정의만 봐도 그렇다. '프랜차이즈'는 가맹본부가 가맹점에게 상호 및 경영 노하우 등을 제공하고 가맹점을 통해 상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업형태다. 가맹점은 본부에 로열티와 원·부자재 매입 등 일정한 대가를 지급하면서 관계가 지속돼야 한다.

최근 불거진 '갑질 논란'은 이런 지속적인 관계에 균열이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성훈 세종대 교수는 "프랜차이즈라는 시스템은 대립 시스템이 아닌 상호보완 시스템"이라며 "가맹본부의 합리적인 리더십과 투명한 경영, 윤리경영과 더불어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선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가맹점보다 상대적으로 힘이 있는 가맹본부부터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 중소기업청이 최근 도입키로 한 '이익공유형 프랜차이즈'는 프랜차이즈 업계에 만연한 불공정 거래를 해소할 수 있는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외식 프랜차이즈업체 가업FC는 해충 방지업체에 매장 위생관리를 맡기고 비용을 전액 본사가 부담하고 있다. 또 매장별로 진행하는 고객 대상 1+1 행사 등에 들어가는 비용도 본사가 부담한다. 한 가맹점주는 "본사가 직접 나서 가맹점들을 살피고 부족한 부분을 함께 고민하는 모습이 무척 인상적이었다"며 "본사에 대한 로열티도 높아지고 든든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

치킨프랜차이즈 bhc는 가맹점의 e쿠폰 결제시스템을 손봤다. 그동안 e쿠폰 결제는 관행상 최장 55일 가량이 걸려 가맹점들의 불편이 많았다. 이를 알게된 bhc 본사는 e쿠폰의 정산을 소비자 사용 후 3일 이내에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전면 교체했다. 교촌에프앤비의 경우 부대비용 점검을 통해 본사가 부담할 수 있는 부분은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차원의 움직임도 눈에 띈다. 중소기업청은 최근 프랜차이즈 업계의 불공정 관행 해소를 위해 '이익공유형 프랜차이즈 육성 사업'을 도입했다. 본사와 가맹점이 초과이익에 대해 공유하기로 계약서상에 명시해 본부와 가맹점이 공정하게 이익을 분배하는 제도다. 이를 위해 중기청은 6개 시범업체를 선정하고 최대 1억원 한도에서 시스템구축, 브랜드, 포장, 디자인, 모바일 웹홈페이지 개발 등을 지원키로 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