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탈출구 없는 은행]③수수료 인상, 점포 축소...다음은?

  • 2016.06.20(월) 14:37

고객 수수료 인상 불가피하지만 고객 저항도 불보듯
단기이익 급급말고, 중장기적인 수익 확대 노력 필요

결국 은행들은 대고객 수수료 인상을 택했다. 지난 2011년 정부가 은행 수수료를 일제히 내리면서 사실상 가격을 통제했던 것을 풀자, 최근 수수료 인상을 본격화하고 있다.

한푼이 아까운 은행들엔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 한번은 거쳐야 할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최근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예금금리 인하 등과 맞물리면서 소비자들의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은행들이 중장기적인 비이자이익 확대 전략보다는 당장 손쉬운 수수료부터 올리는 게 아니냐는 비판에서도 자유로울 순 없어 보인다.

 

 


◇ 수수료 인심 팍팍해진 은행

지난해 금융위원회가 은행 수수료 등 가격에 개입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후 은행들은 눈치보기에 바빴다. 당장 은행간 경쟁이 심화하면서 고객 이탈이나 평판을 우려해 섣불리 인상에 나서지 못했다.

최근 은행 수익성이 최악의 길로 걸어가면서 상황은 바뀌었다. 더는 은행들도 버티지 못하고 수수료 인상에 나서기 시작했다. 국민은행도 이 대열에 합류했다.이달초 10만원 초과 타행송금 수수료를 구간에 따라 기존 1500~2500원 하던 것을 2000~4000원으로 많게는 1500원 인상했다. 이외에도 통장·증서 재발급과 제증명 수수료도 각각 2000원에서 3000원으로 올렸다. 
 
앞서 신한은행도 지난 4월부터 외환송금 수수료와 자동화기기를 통한 타은행송금 수수료를 올렸고, KEB하나은행도 자동화기기 이체 수수료를 올렸다. 기업은행은 다음달 11일부터 10만원 초과 100만원 이하 타은행 송금 수수료(창구)를 2000원으로 올리고, 자동화기기 수수료도 30% 가량 인상한다.

◇ 수수료 현실화 맞긴 한데…서민은 어쩌지

은행들은 수수료를 '현실화'하는 것이라고 항변한다. 수년간 정부 통제로 수수료를 올리지 못했던 상황이나, 은행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실상 '공짜'로 여겼던 점에 비춰보면 틀린 얘긴 아니다. 외국의 선진 은행과 비교해 수수료가 낮은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송금 수수료나 ATM 등 일부 수수료의 경우는 그 부담이 일부 취약계층에게만 돌아간다는 점이다. 수수료 면제 대상을 축소하는 분위기이지만 여전히 월급을 따박따박 받는 주거래통장과 주거래은행을 지닌 직장인이나 돈 많은 부자고객들은 대부분의 수수료를 면제받는다. 결국 직업이 없는 청년층, 모바일 혹은 온라인 거래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 등의 부담이 커진다.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마이너스금리 하에서 단스케뱅크의 수익성 개선 배경과 시사점' 보고서

최근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예금금리 인하와도 맞물리면서 소비자들의 저항 혹은 체감 인상분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중장기적인 수수료수익 확대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권우영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국내은행의 대고객 수수료가 낮았던 것도 사실이지만 자산관리나 투자은행(IB) 쪽에서 비이자수익을 확대하려는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마이너스 금리 도입으로 유로지역 은행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덴마크의 단스케뱅크가 최대 실적을 낸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단스케뱅크는 경영환경 악화에 대응해 2012년 자산관리서비스 강화와 디지털 혁신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는 등 중장기적 관점에서 수수료 비즈니스 확대와 사업구조 재편으로 수익성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2015년 자산관리부문에서만 1300억 달러의 수익을 냈고, 총이익 대비 수수료 이익 비중도 같은 기간 22.2%에서 32.2%로 확대됐다고 소개했다.

◇ 올해 4개 은행 점포 150개 이상 감축


국내 은행들은 사실상 국내에선 뾰족한 수익원을 찾지 못하고, 비용을 줄이는 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은행 한 고위관계자는 "시중은행들이 돈 버는 데엔 한계가 온거 같다"며 "해외 쪽으로 확대하면서 국내에선 대손비용과 판매관리비 특히 점포비용을 줄여나가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국민, 신한, KEB하나, 우리은행 등 4곳의 은행은 총 79개의 점포를 없앴다. 올해들어선 이달까지 이미 없앴거나 조만간 있을 점포 통폐합 계획만 고려해도 153곳의 점포가 사라진다.

최근 전산통합을 끝낸 KEB하나은행은 연내에 47개 점포를 통폐합 할 계획이고, 우리은행도 지난 5월까지 25개를 줄였고, 오는 7월 인사 이동에 맞춰 30개를 추가로 줄일 계획이다. 우리은행 고위관계자는 "500미터 이내 점포는 합치고, 저금리로 인해 적자로 전환한 점포도 적극적으로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령 총자산 2000억원 정도의 점포 규모에서 과거 금리가 높은 시절엔 흑자를 냈지만 금리 인하 이후 인건비, 임차료 등의 부담으로 적자로 전환한 곳들이 대상이 되는 식이다.
 
권우영 수석연구원은 "비용 효율성 제고라는 분명한 목표의식 아래에 모바일 플랫폼을 활용한 채널 효율화로 영업력 위축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비용절감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시리즈 끝]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