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자가 마무리되면 카카오뱅크의 자본금은 8000억원으로 올라서는 반면 케이뱅크는 여전히 3500억원에 불과하다. 케이뱅크의 경우 은행법이 개정(은산분리 완화)되지 않으면 자본확충 이슈가 지속적으로 불거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카카오뱅크와 달리 자본확충이 쉽지 않은 주주구성이고, 이는 또한 케이뱅크의 근본적인 경쟁력 혹은 자본건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 증자 이번주 결론?
◇ 통큰 카뱅 주주사, 5000억원 쏜다
카카오뱅크는 11일 이사회를 열고 5000억원 규모(보통주 1억주)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9개 주주사가 모두 참여하는 주주배정 방식으로 현재 지분율은 그대로 유지된다. 다만 각 주주사들의 이사회 의결 과정에서 일부 주주사가 증자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 최대주주(58%)인 한국투자금융지주가 추가로 지분을 인수할 수 있도록 플랜 B를 마련한 것으로 전해진다.
카카오뱅크는 애초 내년 3월쯤 4000억원 수준의 자본확충을 계획했지만 대출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일정을 앞당겼다. 증자 규모도 4000억원 이상을 희망했고, 주주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규모를 5000억원으로 확대했다. 카카오뱅크는 이번 자본확충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는 추가 증자 없이도 수익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11일 오후 3시 기준으로 수신 1조2190억원, 여신 8807억원을 기록했다. 카카오뱅크의 자본금은 기존 3000억원에서 추가 증자분을 더해 8000억원으로 확대된다. BIS자기자본비율 8%를 맞춘다고 할 때 산술적으로는 자본금의 12.5배인 최대 10조원까지 대출(위험가중자산)을 늘릴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향후 신용대출뿐 아니라 주택담보대출 등 영업확대를 위한 든든한 기반을 마련한 셈이기도 하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도 "이번 증자가 완료되면 재무건전성이 한층 더 강화되고 혁신적인 상품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선보일 수 있는 여력을 추가로 확보하게 된다"고 말했다.
◇ 1000억원도 쉽지 않은 케이뱅크, 기댈 곳은 법 개정
출범 2주일 만에 속전속결로 자본확충까지 의결한 카카오뱅크와 달리 케이뱅크는 일찍부터 자본확충 협의를 시작했지만 주주사들간에 합의가 더뎠다. 어제 부랴부랴 1000억원의 증자를 결의했다.
경쟁사인 카카오뱅크의 증자 추진 소식이 전해지면서 다급해진 케이뱅크의 증자도 탄력을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케이뱅크는 이달초에도 이사회에서 자본확충을 논의했지만 주주들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무산된 바 있다.
애초 2500억원 규모의 증자를 2~3년 내 시행할 계획이었지만 케이뱅크 역시 출범 초기 예상을 웃도는 대출 증가로 증자 일정을 앞당겨 추진했다. 다만 9월 중으로 1000억원(보통주 1600만주, 전환주 400만주) 규모의 증자를 추진하고 연말이나 내년초 1500억원의 추가 증자를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당장 1000억원 수준의 증자로는 BIS자기자본비율 등 급한 불을 끄는 정도에 불과하다. 케이뱅크는 대출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직장인K신용대출 상품 판매를 중단한 바 있다. 금융당국 한 관계자는 "9월말에 규제비율을 맞추는 정도이고, 앞으로 추가적인 영업확대 등의 수준까지는 안될 것 같다"고 말했다.
케이뱅크의 경우 주주사가 19곳으로 잘개 쪼개져 있는데다 지분 8%를 가진 KT는 산업자본(비금융주력자)이어서 현행 은행법상 지분을 10% 넘게 보유할 수 없는 상태다. 인터넷 전문은행에 한해 ICT기업의 은행 지분 소유 규제를 완화하는 은행법이 개정되지 않으면 자본확충 이슈는 끊이지 않을 전망이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든든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영업을 확대하는 카카오뱅크와의 경쟁에서도 밀릴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