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이유있는' 기업계 카드사의 실적 반란

  • 2020.08.28(금) 16:53

현대카드, KB국민카드 제치고 업계 3위
PLCC로 신규회원 유입…신판매출 확대
롯데·삼성카드, 수익성 제고에 총력전

올해 상반기 기업계 카드사의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현대카드와 롯데카드, 삼성카드 등이 각자 독특한 시장전략을 통해 불황 타파에 나서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대카드의 올해 상반기 별도 순이익은 1745억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0.4% 성장했다. 작년 2분기 누적 순이익 규모로 신한카드·삼성카드·KB국민카드 등에 이어 4위를 유지했지만 이번에는 KB국민카드를 제치고 업계 3위로 올라섰다.

현대카드 상반기 실적이 개선된 배경에는 신규회원이 유입된 효과가 자리잡고 있다. 2018년 이후 매년 꾸준히 70만명 수준의 신규회원이 유입되면서 신판매출이 전년대비 7% 가까이 확대했다. 여기에 비대면 채널을 강화해 각종 비용을 축소한 것도 실적 개선에 힘을 보탰다.

신규회원 유입의 일등공신은 단연 PLCC(Private Label Credit Card, 상업자 표시 신용카드) 사업이다. 현대카드는 2015년 국내최초 PLCC 이마트 e카드를 출시한 이후 이베이, 코스트코, 쓱닷컴, GS칼텍스, 대한항공, 스타벅스 등 업체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보폭을 확대하고 있다.

PLCC는 가맹점 브랜드를 내세운 상품이다. 일반 제휴카드와는 달리 카드 운영에 드는 비용과 수익을 가맹점과 함께 나눈다는 점이 특징이다. 카드사 입장에선 가맹점 고객을 신규회원으로 흡수할 수 있어 매력적이다. 성장이 둔화한 업황을 타파하기 위한 시도로 해석된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회원 연령과 기호 등을 면밀히 판단해 개별 업계 선두 업체들과 협력해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것이 사업의 목표"라며 "현대카드가 구축해 놓은 디지털 비대면 채널을 플랫폼 삼아 PLCC 사업을 다양한 영역으로 꾸준히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비용 축소도 눈에 띈다. 카드사 대부분은 정책당국의 우대수수료 범위확대로 전통적 수익원이었던 가맹점 수수료 확대에 제동이 걸린 상태다. 현대카드는 스마트폰 앱 개선 등과 같은 비대면 서비스 강화를 통해 상반기 영업비용을 전년 동기 대비 7% 이상 줄이는 데 성공했다.

롯데카드와 삼성카드의 선전도 주목할 만하다. 롯데카드의 상반기 연결 순이익은 646억원. 전년 동기 대비 35.2%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대주주 변경 이후 수익성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하고 조직 개편으로 효율성을 극대화해 순이익 규모면에서 바로앞에 있던 우리카드를 앞질렀다.

롯데카드는 현재 리킷펀(Likit Fun)과 아이엠욜로(I'm YoLo), 엘페이(L.pay)등 기존 카드의 단종 계획을 밝힌 상태다. 해당 카드들은 시장에서 호평을 받아 알짜 상품으로 꼽히기도 했다. 지난 6월 말에는 10년 이상 재직 임직원 대상 희망퇴직을 실시해 상당수 직원들이 떠나기도 했다.

허리띠를 바싹 졸라맨 뒤에는 마이데이터 사업 등에도 진출하겠다는 계획이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전략 가맹점과 핀테크 업체, 외부 페이먼트 사업자 등과 제휴해 네트워크를 넓혀 카드사 본연의 업무를 강화할 수 있도록 마이데이터 산업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카드 역시 외형확대보다 내실경영에 주력하면서 수익성을 끌어올리고 있다. 할부리스 사업과 법인 신용카드 사업을 축소하는 한편 해외 결제에 특화한 삼성페이 전용 카드를 출시한다는 방침이다. 해당 상품은 해외 결제 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도록 디자인됐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기업계 카드사가 은행계 카드사에 비해 빠르게 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조직 운영이 상대적으로 유연하기 때문"이라며 "업황 악화와 전염병 확산 등 악재가 겹쳐있는 지금과 같은 상황에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