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올해 첫 금통위, 기준금리 '종착역' 안내 바뀔까

  • 2023.01.08(일) 07:45

[경제 레이더]
13일 금통위서 올해 첫 기준금리 논의…0.25%P 인상할 듯
관건은 '최종금리 수준'…종전 제시 3.5% 유지하나 상향하나

이번주 금융시장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올해 첫 회의 결과에 주목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지난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도 '빅스텝'을 밟아 한미간 금리차이가 벌어진 상황인데다가 국내는 매달 전년 대비 5%이상 높은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어 금리인상 가능성은 높다. 

주목할 점은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이 언제 끝나는지에 대한 '신호'다. 그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기준금리가 3.5%까지 오를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왔지만, 대내외여건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어 이를 수정할 가능성이 높아서다.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는 13일 통화정책방향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금융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이 올해 첫 금통위부터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시장의 관측은 0.25%포인트 인상한 3.50%다. 

이같은 전망이 나오는 이유는 지난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핵심 근거였던 물가가 좀처럼 잡히고 있지 않아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동기 대비 5.0% 상승하며 8개월 연속 5% 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고점을 찍었던 지난해 여름에 비해 둔화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통상 기준금리 인상이 물가 안정에 기여하는 데에는 최소 6개월 가량 걸린다는 게 통화당국 측의 설명이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4월부터 6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한 영향이 물가상승률 둔화에 작용했지만 목표치인 2%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역시 올해에도 물가가 잡힐때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하겠다는 기조를 밝혔다. 이창용 총재는 지난 1일 내놓은 신년사를 통해 "물가가 목표수준을 상회하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통화정책은 물가안정에 중점을 둔 정책기조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와 동시에 한미간 금리차가 크게 확대되고 있는 점도 한국은행이 올해 첫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하는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있다.

한·미 기준금리 추이. /그래픽=비즈니스 워치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종전보다 0.5%포인트 인상하기로 했다. 이에 미국의 기준금리는 4.25~4.50%까지 높아졌다. 이에 따른 한미간 금리차이는 1.25%까지 벌어진 상황이다. 

연준은 올해 역시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미국 연준은 올해 첫 회의인 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만일 한은이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는다면 한미간 금리차이는 1.75%까지 벌어진다. 이는 역대 최대 폭인 1.50%보다 0.2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이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달러/원 환율의 상승 등의 부작용을 생각하면 한국은행 역시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다고 보고있다.

또다른 핵심은 이창용 총재가 최종금리인상 지점에 대한 평가를 바꿨느냐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해 마지막 금통위에서 "금융통화위원회 위원들의 (최종금리)전망은 3.5%를 중심으로 퍼져있다"라고 했다. 이 전망이 그대로라면 올해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은 올해 첫 금통위에서 종료돼야 한다. 

다만 올해 역시 물가의 고공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 미국의 최종 기준금리 인상 지점에 대한 전망이 지난해 12월 회의에서 더 높아졌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한은의 기준금리 최종 전망 수준이 달라졌을 가능성이 높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난 6일 내놓은 보고서를 통해 "한국은행은 올해 첫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3.50%로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한다"라며 "(최종금리 수준을)3.75%까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짚었다.

이어 "최근 환율은 다소 안정됐으나 미국 연준의 긴축을 반영하면서 달러 강세가 재차 나타나 환율 변동성이 커질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차원에서도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라며 "한국 물가 수준 또한 2% 수준으로 안정될 것이란 확신이 있어야 하는 만큼 3.75%까지로의 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