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정책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지난 달 14일(현지시간) 열린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1년3개월 만에 정책금리를 동결하면서 숨고르기에 들어갔지만 이내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로 인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금리인상 압박도 커질 수 있다. 한미 금리차 확대에 부담을 느끼던 상황에서 미 연준의 동결로 한시름 놓았지만 연준의 금리 추가 인상시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이 확대될 수 있는 까닭이다.
그런 만큼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여기에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시점을 예견할 수 있는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통계청은 오는 4일 6월 소비자물가를 발표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대비)은 올 들어 점차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지난 4월에는 3.7%로 13개월 만에 3%대로 떨어졌고 5월에는 3.3%로 상승폭을 더 축소했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상당폭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고 미 연준도 금리를 동결하면서 한국은행 금통위도 금리인상 압박에서 벗어났다는 평가가 많았다. 하지만 파월 미 연준 의장이 금리 추가 인상을 시사하면서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
파월 연준 의장은 스페인중앙은행 콘퍼런스 모두발언에서 "FOMC 위원 대다수는 연말까지 금리를 두 번 혹은 그 이상 올리는 게 적절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추가 금리 인상 시기와 정도는 경제 향방에 달려있고 특정 횟수를 정해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6월 FOMC에서 금리를 동결했음에도 인상이 멈춘 것은 아니라는 점을 피력했는데 다시 한 번 인상 신호를 던진 셈이다. ▷관련기사: 미국 15개월 만에 금리인상 멈췄다…"끝은 아냐"(6월15일)
한국은행 금통위는 오는 13일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한국은행은 여전히 물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지난달 18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중반까지 뚜렷한 둔화 흐름이 이어져 2%대로 낮아질 가능성이 있지만 이후 다시 높아져 등락하다 연말에는 3% 내외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여부가 한국은행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주는 만큼 미 연준과 경제지표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5일에는 지난달 미 FOMC 의사록이 공개된다. 위원 대다수가 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을 제기했던 만큼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여기에 6일에는 미 무역수지, 7일에는 고용동향 등도 확인할 수 있다.
악화일로인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은행은 7일 5월 국제수지를 공개한다.
앞선 3월 일시적으로 1억6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던 경상수지는 4월 들어 다시 7억9000만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상품수지는 5억8000만달러 흑자를 달성한 반면 여행 등을 중심으로 서비스수지가 12억1000만달러 적자였다.
이보다 앞선 5일에는 6월말 외환보유액을 공개한다. 지난 5월말 기준으로는 4209억8000만달러로 전달보다 57억달러 줄어든 바 있다. 당시 한국은행은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 환산액과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감소,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 등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