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부당대출 60% 현 경영진 체제서 취급…이복현 "경영진 모두 책임"

  • 2025.02.04(화) 18:50

손태승 전 회장 부당대출 현 경영진 때 더 많이 발생
부당대출 등 위법사항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 제재
"부실한 내부통제·불건전 조직문화 상 안 준다"

금융감독원이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이 임종룡 현 우리금융 회장 취임 후에도 상당수 이어졌다고 밝히며 사실상 '책임론'을 제기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해당 회장(손 전 회장)뿐 아니라 그 업무를 통제하지 못한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며 전·현직 경영진을 직격했다. 금감원은 수천억원대 부당대출에 대해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엄정 제재키로 했다.

/그래픽=비즈워치

금감원은 4일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2024년 금융지주·은행 검사 결과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우리은행의 손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은 기존에 알려진 350억원 이외에 추가로 380억원이 적발돼 총 730억원 규모로 파악됐다.

금감원은 이 중 451억원(61.8%)이 임 회장 등 현 경영진 취임시기인 2023년 3월 이후 취급됐다고 구분했다. 손 전 회장 임기 때(279억원)보다 임 회장 임기 내 더 많이 부당대출이 집행된 셈이다. 손 전 회장 친인척이 연루된 부당대출(730억원) 중 338억원(46.3%)이 부실대출로 분류된 상태다.

손 전 회장 외에도 우리은행 전현직 고위 임직원 27명(본부장 3명, 지점장 24명)이 단기성과 등을 위해 대출심사·사후관리를 소홀히 해 부당대출 1604억원을 내줬다. 이 중 987억원(61.5%)은 현 경영진 취임 이후 취급됐고 전체 부당대출(1604억원) 중 1229억원(76.6%)이 부실 판정을 받았다.▷관련기사 : 금감원 '매운맛' 이유 있었네…2300억 부당대출 우리금융 위기(2월4일)

금감원은 우리금융에서 부당대출이 끊임없이 발생한 원인이 내부통제 실패에 있다고 봤다. 내부통제를 비용적 요소로만 인식하고, 상급자의 부당한 지시에도 순응하는 조직문화로 인해 여신 등 주요 업무영역에서 내부통제가 제 기능을 못 했다는 것이다.

특히 금감원이 현 경영진 취임 이후 대출분을 따로 표기한 건 그간 손 전 회장 부당대출 사건과 관련해 임 회장 등 현 경영진 책임론을 강조한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풀이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사진=이하은 기자

이 원장은 이날 진행된 설명회에서 "본인의 사적 이익과 관련된 대규모 금전 취급 행위에 대해서는 당연히 해당 회장뿐 아니라 그 업무를 통제하지 못한 모두에게 책임이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 명의 일탈로 벌어진 일인지, 조직문화 내지는 쉽게 고치기 어려운 조직 내의 잘못된 내성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 지적하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재발 방지 노력을 위한 의지가 있다고 믿고 싶지만 의지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지 냉정하게 볼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또 "부실한 내부통제나 불건전한 조직문화에 대해 상을 줄 생각은 없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이 내부통제 실패에 현 경영진 책임을 강조한 만큼 임 회장 등 경영진에 중징계 가능성이 거론된다. 금감원은 부당대출 취급 등 위법 사항에 대해선 무관용 원칙을 기반으로 엄정 제재할 것임을 밝혔다. 이 원장 임기가 6월 초까지인 만큼 속도를 내면 상반기 중 제재 절차가 본격화할 수 있다. 다만 중징계 이상이면 금융위원회 의결까지 거쳐야 하는 구조인 데다, 그 이후 소송전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