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경제에 봄바람?..2분기 BSI 3년래 '최고'

  • 2014.03.19(수) 11:00

상의 2분기 BSI 111..전분기대비 19포인트↑
대·중소기업, 수출·내수기업 모두 호전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급격하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경기회복, 자동차와 전기전자를 중심으로 한 업황 개선, 정부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대한 기대감 등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9일 전국 2425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2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가 111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분기보다 19포인트 상승했고, 지난 2011년 1분기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기업경기전망지수가 100 이상이면 이번 분기보다 다음 분기에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은 것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대·중소기업, 수출·내수기업 모두에게 나타났다. 대기업의 2분기 BSI는 1분기 97에서 113으로 크게 올랐고, 중소기업도 91에서 111로 뛰었다. 수출기업과 내수기업 또한 각각 115, 110을 기록했다.

 

 

권역별로도 전국 모든 지역의 경기전망지수가 전분기보다 크게 상승했다. 강원권은 평창 동계올림픽 시설공사가 본격화하면서 전국 최고치인 ‘119’를 기록했다. IT와 첨단산업이 집중되어 있는 충청권이 ‘118’을 기록했다.

 

이어 동남권(113), 호남권(112), 수도권(111), 대경권(105) 순으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 다만, 제주권(90)은 전분기보다 9포인트 상승했지만 기준치에는 못 미쳤다.

 

송의영 대한상의 경제자문위원(서강대 교수)는 "국내경기는 지표상으로 지난해 2분기를 저점으로 회복세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국내경기가 대외여건에 큰 영향을 받는 만큼 중국·유럽 등의 경기회복과 국제금융시장의 안정이 뒷받침돼야 경기개선도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2분기 기업경영 애로요인으로는 ‘내수 및 수출 등 수요부진’(44.0%)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자금난’(20.9%), ‘인력난’(13.2%), ‘환율불안’(12.8%) 등을 지적했다. 정부에게 바라는 정책과제로는 ‘경기활성화’(52.5%), ‘자금난 해소 지원’(17.5%), ‘원자재가 안정’(14.6%), ‘인력난 해소 지원’(8.2%) 등의 순이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경기에 대한 기대가 살아나고 있지만, 본격적인 회복기로 판단하기는 미약한 감이 있다”며 “기대감이 실제 경기진작으로 이어져 고용과 투자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경기활성화 정책의 차질없는 시행과 규제완화를 통한 기업 경영환경 개선에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 오늘의 운세
  • 오늘의 투자운
  • 정통 사주
  • 고민 구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