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산업 리그테이블]①수익성 후퇴한 삼성…'최대 매출' 전자도 역부족

  • 2025.05.23(금) 06:50

10개 주요 계열사 영업익 전년 동기 比 6.5% ↓
삼성SDI 낙폭만 6800억원…3위서 최하위로
삼성전자, 매출 치솟았지만 이익은 제자리

/그래픽=비즈워치

반도체·조선·방산이 2025년 1분기 산업계의 버팀목이었다. 글로벌 수요 둔화 속에서도 인공지능(AI) 열풍이 메모리 반등을 이끌었고 조선·방위산업은 수주 확대와 수익성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반면 배터리·정유·소비재 등은 부진을 면치 못했고, 건설·상사 업황은 수익성 방어에 애를 먹었다. 비즈워치는 삼성·SK·현대자동차·LG·포스코·한화·HD현대 등 주요 7개 그룹을 선정, 올해 1분기 실적 흐름과 산업별 온도차를 심층 분석했다. [편집자]

삼성그룹 주요 계열사들이 올해 1분기 뚜렷한 실적 명암을 드러냈다. 실적 최전선에 선 삼성전자가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방어선을 구축했지만 삼성SDI는 적자로 전환되며 수익성 발목을 단단히 잡았다. 조선·IT 계열사들이 일부 반등에 성공한 반면, 전반적으로 수익성 부진이 두드러진 분기였다. 이로 인해 계열사 간 영업이익률 격차도 더욱 벌어졌다. 삼성전자의 사상 최대 매출에도 불구, 실적 구조 전반에선 수익성의 한계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삼성SDI·호텔신라 부진…반도체 반등도 반쪽

삼성그룹 주요계열사 1분기 영업이익 변화./그래픽=비즈워치

삼성그룹 비금융 주요 계열사 10곳(삼성전자·삼성물산·삼성SDS·삼성전기·삼성E&A·삼성중공업·제일기획·에스원·호텔신라·삼성SDI)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총 7조835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8조3791억원) 대비 6.5% 감소한 수치다.

삼성SDI가 가장 큰 타격을 안기며 실적을 끌어내렸다. 삼성SDI는 전체 영업이익 감소분(5432억원)을 웃도는 6830억원의 낙폭을 기록, 그룹 실적 부진을 사실상 주도했다. 

지난해 1분기 2490억원의 영업이익으로 그룹 내 3위를 차지했던 삼성SDI는 올해 4340억원 영업손실을 내며 10개 계열사 중 최하위로 추락했다. 전기차 수요 둔화,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비수기, 주요 고객사 재고 조정 등이 겹쳤다.

호텔신라도 지난해 121억원 흑자에서 24억원 적자로 돌아서며 수익성 악화 대열에 합류했다. 면세점 업황 회복이 지연된 데다 해외 입국객 증가세도 기대에 못 미쳤다.

삼성E&A도 부진을 피하지 못했다. 영업이익은 2093억원에서 1573억원으로 24.8% 감소했다. 비화공 부문이 위축된 가운데 화공 부문에선 원가 부담이 커지며 수익성에 타격을 입었다.

그나마 삼성전자가 실적을 버텨냈다. 영업이익은 6조6852억원으로 1.2% 늘며 전년 수준을 소폭 웃돌았다. 다만 증가 폭은 미미했고 반도체 회복 강도에 대한 기대엔 미치지 못한 수준이었다.

아울러 삼성SDS(18.9%)·삼성중공업(58.1%)·에스원(12.9%) 등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분전했지만, SDI와 E&A 등 낙폭을 메우기엔 역부족이었다.

매출은 105조…삼성전자 '외로운 견인'

삼성그룹 주요계열사 1분기 매출 변화./그래픽=비즈워치

매출 측면에선 선방했다. 이들 10개사 1분기 합산 매출은 105조55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 이중 삼성전자가 79조1405억원으로 분기 기준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 그룹 실적을 방어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이 51조7000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65% 이상을 차지했다. 갤럭시S25 시리즈의 판매 호조와 프리미엄 TV·가전 수요 확대가 성장을 견인했다.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25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서버용 D램과 낸드 수요 회복이 일부 반영됐지만, HBM 판매 둔화와 파운드리 가동률 정체가 발목을 잡으며 전분기 대비 역성장을 나타냈다.

삼성디스플레이(SDC)는 5조9000억원, 자회사 하만은 3조4000억원의 매출을 각각 올렸다. 대형 QD-OLED 모니터 수요와 프리미엄 오디오 제품군이 실적을 견인했다.

그룹 내 다른 계열사들도 양호한 흐름을 이어갔다. 삼성중공업은 조선 수주 호조에 힘입어 매출이 6.2% 늘었고, 삼성SDS(7.5%), 삼성전기(4.8%)도 각각 클라우드와 전장용 MLCC 수요 확대에 힘입어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다.

반면 삼성SDI는 유럽 고객사 중심의 배터리 수요 둔화 등 영향으로 매출이 34% 급감했다. 삼성E&A(-12%), 삼성물산(-9.8%) 등도 건설·상사 업황 위축으로 매출이 감소했다.

적자와 방어 사이…이익률 '극과 극'

삼성그룹 주요계열사 1분기 영업이익률 변화./그래픽=비즈워치

수익성 지표인 영업이익률에선 계열사 간 온도차가 더욱 뚜렷하게 드러났다.

삼성SDI는 –13.7%로 10개 계열사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5.2%였던 이익률이 18.9%포인트(p) 급락했다. 호텔신라 역시 –0.2%로 돌아서며 수익성이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삼성전자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음에도 이익률은 8.4%로, 전년 대비 소폭 하락했다. 매출이 전년 대비 10.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9% 증가에 그치며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덜 따라준 까닭이다. 반도체 부문에선 HBM 판매 둔화와 파운드리 가동률 정체가, 디스플레이 부문에선 중소형 패널 수요 둔화가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삼성중공업은 조선 업황 회복에 힘입어 영업이익률이 1.6%p 오른 4.9%를 기록했다. 에스원(8.2%), 삼성전기(7.3%), 삼성SDS(7.7%)도 안정적인 수익성을 이어갔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 오늘의 운세
  • 오늘의 투자운
  • 정통 사주
  • 고민 구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