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창조센터2.0] ①`새로운 매칭` 17개 진영..효과는?

  • 2015.07.21(화) 14:52

아이디어·개발·상품화·판매까지 원스톱 지원
벤처캐피탈·엔젤투자자 연계 창업 생존성 높여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의적 지역 인재, 창업·벤처기업, 대학·연구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지역 역량과 연계해 창조경제 생태계를 만드는 공간이다. 지난 2013년 3월26일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가 첫 개소했지만 당시는 관(官) 주도였다. 대기업 연계 사례는 2014년 9월15일 삼성 지원의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가 처음이다. 이후 10개월에 걸친 전국 17개소 설립이 이달중 완성된다. 설립까진 잘 왔다. 남은 문제는 성과창출과 지속 가능성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의 현황을 살피고 과제를 짚어본다.[편집자]

 

 

조만간 한진 지원의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만 문을 열면, 전국 17개소 창조경제혁신센터 개소가 완료된다.

 

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창조센터)는 지방자체단체와 대기업이 짝을 이뤄 창업보육부터 세일즈까지 지원하는 첫 번째 사례다. 물론 정부가 기획부터 성과까지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등 지난 정부의 벤처·창업 지원기관과 유사하다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창업자 입장에서는 대기업으로부터 실질적 지원·혜택을 얻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창조센터의 공을 높게 평가한다. 이것이 정치색을 벗어나 창조센터가 성공해야 하는 이유다.

 

◇"대기업 지원받아 좋아요"

 

2013년 '창조경제'의 정의부터 모호하다는 비판이 일던 무렵, 미래창조과학부는 실질적 성과창출을 위해 지역별 17개소 창조센터 설립안을 마련했다. 첫 작품이 대전이었다. 미래부는 2013년 3월26일 지역 전략산업 육성과 창업생태계 조성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할 창조센터를 대전에 최초로 열었다. 지역내 논의를 통해 도출된 무선통신융합, 로봇자동화, 메디바이오, 금속가공, 지식재산서비스 분야를 집중 육성키로 방향성을 정했다. 이어 그해 4월28일에는 대구창조센터까지 오픈했다. 

 

이 같은 창조센터는 지역전문가, 대학과 연구기관, 창업보육기관, 지자체 등의 역량을 연계하는 노력을 통해 창업·벤처지원을 위한 우호적 환경을 조성했다는 일부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창업·벤처·중소·대기업 상호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에 기반한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는 한계를 드러냈다.

 

▲ [자료=미래창조과학부]

 

이윽고 정부는 전국경제인연합회와 합세해 대기업과의 상생협력안을 만들었다. 전국 17개소 창조센터 별로 대기업과 매칭시켜, 지역특화 산업에 맞는 창업지원을 하겠다는 생각이다. 이미 설립된 대전, 대구창조센터는 대기업과 매칭시켜 확대 출범시키고, 나머지 15개 창조센터는 첫 설립부터 대기업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정해졌다.

 

물론 논란도 있었다. '정부가 대기업 팔을 비틀었다' '비자발적으로 참여한 대기업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느냐' '정권이 바뀌면 사라질 창조센터' 등 실랄한 비판이 쏟아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조센터에 입주한 창업기업인들은 "어쨌거나 대기업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좋다"고 말한다. 즉 다른 창업지원기관과 다른 창조센터 만의 특징을 꼽으라면 대기업의 지원이란 소리다.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입주기업인 쇼베 정민채 대표는 "대기업과 전략 파트너로 윈-윈 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가장 컸다"면서 "그런 의미에서 사업아이템인 게임에 대한 마케팅, 홍보, 해외 파트너십 구축에 필요한 네트워크 니즈가 크다"고 말했다.

 

◇'아이디어·기술' + '자본·네트워크'

 

창업자의 상당수는 뛰어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상품화 전 단계까지의 기술개발을 이룩한다. 문제는 이것을 어떻게 상품화 하고 시장에 내다 파느냐다. 이를 위해선 자본투자, 특허·규제점검, 판매망 구축 등 실질적으로 보강해야 할 부분이 많다. 만약 상품화에 성공해 판매까지 이룬다해도 회사가 안정기에 들어서기 까지 2∼3년을 버틸 운영자금이 없다면 그 또한 문제다.

 

이런 측면에서 창업자가 초창기부터 대기업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큰 도움이다. 실제로 창조센터는 대기업 지원을 통해 지역내 창업·벤처기업의 아이디어와 기술을 구체화 시키고, 사업모델·상품개발·판로확보·해외시장 진출이 이뤄진다. 경우에 따라선 창업자의 우수 기술을 직접 매입하거나 해당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도 이뤄진다.

 

 

대기업의 창조센터 참여 유형은 지역별 여건과 산업 특성 등에 따라 서너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가 아이디어 발굴에서 사업화까지 패키지로 지원하는 사업 모델이다. 아이디어 제안자가 창업할 수 있도록 연계사업을 진행하는 창조경제타운과 연결시켜 우수 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하거나, 지역 내 관련기관을 활용해 시제품 및 디자인 시안을 제작하는 등 사업화 준비를 지원한다. 기업 대상 발표회(B2B)나 고객 품평회(B2C)를 통해 사업성을 검증하고, 검증된 비즈니스 모델인 경우 엔젤투자자 및 벤처캐피탈로 부터 투자유치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또 대기업 보유자원과 국내외 네트워크를 활용한 지원 프로그램이다. 대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유무형 자원 중에 사용하지 않는 지적재산권이나 제품·서비스를 벤처·중소기업이 사업화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선 기업이 보유한 글로벌 유통망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판로개척에 나선다.

 

이밖에 대기업은 중견기업에 속하는 협력사를 활용, 창업지원에 나설 수 있다. 협력사로 하여금 창조센터와 연계해 아이디어, 기술발굴, 제품화 단계까지 적극적으로 참여를 독려한 뒤, 실질적 성과에 따라 우선구매권한을 보유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이다. 지역 특화전략 산업과 기업의 전략이 연계되는 분야의 경우 사업화 공동연구, 조인트벤처 설립, 벤처투자 등 상생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창조경제혁신센터 설립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역동적인 혁신경제 구현을 위한 핵심 정책과제이면서, 대기업 입장에서도 상생경제에 기여하고 우수 중소·벤처기업과 윈-윈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