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창조센터2.0]④정치색 빼고 점프업 하라

  • 2015.07.24(금) 16:20

단순 '창업자-대기업' 매칭서 벗어나야
지속성과 내려면 생태계 조성 더 중요
참여 대기업에도 인센티브 부여해야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기반, 지역특화산업 육성, 능력있는 대기업 매칭제도 등 새로운 창업육성 시스템에 도전했다는 긍정 평가를 받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도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창조센터) 출범 완료는 온라인 창조경제타운과 더불어 전국적 네트워킹을 갖춘 창조경제 실현 플랫폼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면서 "각 지역 수요와 전담기업 역량에 맞춰 창업과 중소기업의 혁신, 지역특화산업을 원스톱 지원하는 거점 기능을 정립시켰다"고 자평했다.

 

▲ 박근혜 대통령은 24일 오전 창조경제혁신센터장 및 지원기업 대표 간담회에 참석, 기념촬영을 했다.

 

(앞줄 왼쪽부터) 황창규 KT그룹회장, 조양호 한진그룹회장, 손경식 CJ그룹회장,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의장, 정몽구 현대차그룹회장, 허창수 GS그룹회장, 박근혜 대통령, 박용만 두산그룹회장, 구본무 LG그룹회장, 이재용 삼성그룹회장, 신동빈 롯데그룹회장, 김승연 한화그룹회장, 권오준 포스코그룹회장.

 

(가운데줄 왼쪽부터) 임덕례 경기센터장, 박인수 인천센터장, 조홍근 부산센터장, 임종태 대전센터장, 김상헌 네이버대표이사, 최길선 현대중공업그룹회장, 김선일 대구센터장, 서경배 아모레그룹회장, 김범수 다음카카오의장, 조현상 효성부사장, 강명신 문화창조융합센터장, 박용호 서울센터장, 이병우 충남센터장, 우종수 포항센터장.

 

(뒷줄 왼쪽부터) 유기호 광주센터장, 정영준 전남센터장, 박주철 울산센터장, 김진한 경북센터장, 최길성 세종센터장, 전정환 제주센터장, 양오봉 전북센터장, 최상기 경남센터장, 윤준원 충북센터장.

 

하지만 태생적 한계도 있다. 너무 기계적으로 지역을 분배하면서 대기업과 1대1로 매칭한 점이다. 실질적 지원은 대기업이 하지만 정부의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했던 만큼, 기존 관(官) 주도의 창업지원기관과 별반 다를 게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권이 바뀌면 대기업의 창조센터 지원도 부실해질 것이란 우려감도 여기서 나온다.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선 참여 대기업에게 확실한 성과보상을 만들어줘야 한다. 정부 눈치를 보지 않고서도 대기업 스스로 창업지원에 나설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창조센터 운영위원회는 참여 대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 동반성장지수 평가, 국가 연구개발(R&D) 참여시 가점 부여 등의 인센티브 제도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만큼 확실한 보상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 박근혜 대통령이 24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창조경제혁신센터장 및 지원기업 대표 간담회에 참석, 격려사를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의장, 이재용 삼성그룹부회장, 김선인 대구혁신센터장, 박근혜 대통령, 허창수 GS그룹회장, 박용만 두산그룹회장, 최상기 경남혁신센터장, 최경환 경제부총리겸 기획재정부장관, 김승연 한화그룹회장.

 

또 창조센터를 기계적인 지원기관으로만 운영할 것이 아니라, 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파수꾼으로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미래부는 24일 창조센터 향후 운영계획에 대해 "운영을 내실화하고 관계부처 연계·협력 기반을 구축하는 한편 아이디어 발굴에서 글로벌 진출까지 창업과 지역혁신의 거점으로 자리매김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경남창조센터에서 도입하고 있는 온라인 사전문진 서비스를 모든 창조센터에 적용, 집중상담을 통해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기업들의 관심이 높은 금융상담에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과 협력지원을 강화시키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오는 8월 말 창조경제 혁신 페스티벌(가칭)를 개최해 창업 노력을 격려하고 창업 붐을 조성하는 등 창조경제의 분위기를 확산시키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이는 자칫 성과창출을 위한 조급성을 불러일으켜 보여주기식 행정에만 그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일방적인 창업지원과 격려행사 보다는 창업에 실패해도 용인되는 사회문화, 창업자를 지원하는 투자문화, 아이디어와 기술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는 기술거래문화, 대기업 직장인 보다 창업인이 더 성공할 수 있다는 인식 등 창업에 대한 전반적인 문화가 바뀌고 생태계가 조성되어야 한다는 얘기다.

 

▲ 박근혜 대통령이 24일 오전 창조경제혁신센터장 및 지원기업 대표 간담회에 참석, 참석자들과 환담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회장, 허창수 GS그룹회장, 박용만 두산그룹회장, 구본무 LG그룹회장, 이재용 삼성그룹부회장, 박근혜 대통령, 신동빈 롯데그룹회장, 김승연 한화그룹회장, 권오준 포스코그룹회장.

 

창조센터가 성공하려면 보다 더 근본적으로 정치색이 배제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면서 '창조경제'란 용어가 만들어졌지만, 사실 내용적으로 보면 과거 정부들도 지향해오던 경제부흥정책의 일환"이라면서 "정치색을 빼고 보면 일맥상통하다"고 평가했다.

 

임종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장도 '정권이 바뀌면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창조센터가 하는 일이 제대로 자리를 잡아야 국가경제 부흥이 가능하다"면서 "이는 정권이 바뀌어도 창업생태계가 자리를 잡아야 한다는 이유이며, 이를 위해선 향후 3년내 창조센터를 통한 좋은 결과가 빨리 나와야 하는 당위성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3년이라는 시기는 어떻게 보면 조급증 일수 있지만, 정권이 바뀌기 전 좋은 결과가 나와야만 정권과 무관하게 창조센터가 연속할 수 있는 생존법이기도 하다는 설명이다. [시리즈 끝]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