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의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을 적용한 자율주행차 에이원(A1). 언뜻 평범한 자동차 같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차량 내부에 차선을 인식하는 카메라와 교통신호·트래픽 등을 인지해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하는 카메라가 달려 있다. 차량 상단엔 장애물을 인식하는 라이더, 하단엔 센서가 있다.
성수동 한강사업본부에서 자율주행 모드 버튼을 누르자 A1이 주행을 시작한다. 운전자가 손발을 운전대와 가속·제동 장치에서 떼고 있는데도 알아서 달린다. 카메라, 라이더, 센서 등으로 인식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운전대 옆 모니터에 전송, 분석돼 현 위치, 주변 차량과의 거리 등을 보여준다.
강변북로를 달리는 동안엔 제한 속도인 80km 이하를 유지하면서 주행한다. 주변 차량에 맞춰서 속도를 늦추거나 높이는 것은 물론 차선을 변경하기도 한다.
관제센터로부터 교통정보를 전달받은 후 예상 경로를 스스로 바꾸기도 한다. 5G 망을 통해 목적지인 서울숲 북쪽 입구 근처 사고정보를 받아본 후 경로를 변경, 북쪽 입구 대신 동쪽 입구에 진입한다.
11일 A1이 실제로 주행하는 모습이다. LG유플러스는 이 같이 교통상황이 혼잡한 도심도로에서도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였다. A1은 자율주행 전용구역이나 단거리가 아닌 8km 거리의 도심도로를 25분간 달리면서 앞서 진행된 자율주행 시연보다 상용화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줬다.
LG유플러스는 11일 오전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에서 간담회를 열고 A1의 자율주행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LG유플러스와 한양대학교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 에이스랩(ACE Lab)가 공동으로 개발한 A1은 미국 자동차 공학회(SAE) 분류 기준 레벨4(고도 자율주행) 차량이다. 레벨4는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고도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단계를 말한다.
에이스랩은 2017년 경부고속도로에서 A1을 6시간 동안 운행, 자율주행 핵심 기술을 공개한 바 있다. 이번에는 LG유플러스의 5G 기술을 적용한 A1을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등 도심도로에서 운행해 차선 변경 등이 수시로 벌어지는 혼잡한 상황에 대응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이상민 LG유플러스 FC부문장 전무는 "한양대학교 에이스랩과 지난해 전략적 협력관계 맺고 자율주행 분야에서 함께 연구개발을 진행했다"면서 "이용자가 신뢰할 만한 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선우명호 한양대학교 교수는 "미국 자율주행 택시 웨이모만 해도 교통량이 적은 평지를 달린다"면서 "반면 LG유플러스와 선보이는 A1은 카메라, 라이더 등을 통해 모든 주행상황을 인식하고 어떤 날씨와 조건에서도 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진행된 KT와 SK텔레콤의 자율주행 시연 행사에 이어 진행되는 것이기도 하다. KT는 지난해 6월 자율주행버스를 운행하면서 강남 영동대로 1.5km를 달리는 모습을 보여줬다. SK텔레콤은 같은 해 11월 쏘카와 자율주행차 시연을 진행하면서 배곧생명공원 인근 도로 2.3km를 달렸고 이어 12월에 자율주행 실험도시인 케이시티에서 5G 자율주행차를 운행했다.
LG유플러스는 이날 강북대로, 올림픽대로 등 주요 도심도로 총 8km를 25분간 주행, 과거 행사에 비해 제한되지 않은 구역에서 장거리를 달리며 차별 점을 부각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과거 행사들은 미디어에 운행 모습을 공개하지 않거나 구체적인 기술, 주행 거리 등이 소개되지 않았다"면서 "이번 행사는 대대적 공개를 통해 실질적인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A1이 주행하는 동안 탑승자는 차 안에서 스트리밍 영상을 감상했다. 가상현실(VR) 기기를 착용한 후 그랜드 캐니언, 해양 생태계, 아이돌 연습 등 VR 콘텐츠를 끊김 없이 실시간으로 이용했다.
강종오 LG유플러스 FC부분 미래기술 담당은 "5G 자율주행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도입하면 인포테인먼트(정보 및 오락), 음악, 날씨는 물론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도 차량 내부에서 이용할 수 있다"면서 "자율주행 관련 콘텐츠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선우명호 교수는 이날 행사에서 자율주행을 위한 교통신호 체계 구축을 촉구하기도 했다. 선우 교수는 "정부가 교통신호 정보를 통신 망을 통해 제공하는 작업을 발 빠르게 진행해야 한다"면서 "자체적으로 관련 작업을 하기에 시간과 인원이 너무 많이 소요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