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사람 중심 AI 사회 위해서는 글로벌 논의 필요"

  • 2019.12.05(목) 17:29

제1회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국제콘퍼런스
"AI 영향력 기후변화와 유사…글로벌 가치 정립 해야"

지금은 AI(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이 이끄는 지능정보사회다. 새로운 기술들은 우리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윤택하게 만들지만, 우리가 중요시하는 가치를 뒤흔들기도 한다.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윤리적 가치 정립의 중요성이 커지는 이유다. 특히 지능정보사회화가 전세계적으로 일어나는 만큼 이같은 가치 정립에 글로벌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5일 '제1회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국제콘퍼런스'에서 이상욱 한양대학교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백유진 기자]

5일 서울 명동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제1회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국제콘퍼런스'에서 유네스코 세계과학기술윤리위원회 위원인 이상욱 한양대학교 교수는 "현재 EU, OECD, 유네스코 등 국제기구들은 인공지능윤리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 교환하기를 원하고 있다"며 "그들은 '인간적, 윤리적 가치를 존중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 기술 혁신과 산업발전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를 공통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국제적 논의가 필요한 이유를 '기후변화'와 비교해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인공지능이 끼치는 영향은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광범위하며, 어떤 경우에는 굉장히 큰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기후변화와 유사하다"며 "기후변화라는 인류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파리기후변화협약'이라는 중요한 협약을 이뤄낸 것처럼 AI도 국제적인 논의와 공조,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글로벌 기준 정립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적은 기후변화와 달리, AI는 지역별 인식 차이가 커 의견 조율은 필요하다는 것이 이 교수의 생각이다.

그는 "기후변화는 과학적 지식이 어느 정도 확보되면 윤리적인 당위 문제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적지만 인공지능은 어떤 것이 바람직한 규제인지에 대해 지역별로 의견차가 심하다"며 "아프리카에서 인공지능을 이해하는 방식은 기술 선진국의 그것과는 다를 수 밖에 없다"고 짚었다.

이어 "현재 단계에서는 정부 간 협의 기구를 만드는 것보다는 대체적으로 합의할 수 있는 부분에서 윤리 원칙이나 정책적 지향점을 공유하고 다양한 단체에서 끊임없이 여러 의견을 모으는 것을 조금씩 해보자는 게 국제기구들의 대체적인 공감대"라고 부연했다.

우리 정부도 지능정보사회의 윤리규범을 만드는데 관심을 갖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지난달 11일 '이용자 중심의 지능정보사회를 위한 원칙'을 발표하기도 했다.

5일 '제1회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국제콘퍼런스'에서 김석진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백유진 기자]

김석진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능정보 서비스는 방대한 데이터 수집해 활용하고 사람이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한 알고리즘을 통해 결과를 산출하는 특징이 있어 서비스 설계 단계에서부터 기본적인 윤리 규범이 필요하다"며 "사회의 구성원들이 이러한 규범 만들고 지켜나갈 때 지능정보서비스가 이용자 신뢰 바탕으로 발전하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을 얻게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또 "방통위는 지능정보 시대라는 시대적 변화를 받아 기술 발전 속도와 법 제도간 간극 속에서 이용자 보호의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꼼꼼히 준비할 것"이라고 첨언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