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아메리카노가 만드는 비즈니스

  • 2014.01.17(금) 08:49

아메리카노는 에스프레소에 물을 타서 마시는 커피다. 에스프레소는 원두에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순간적으로 통과시켜 커피 성분을 추출하는데 그 맛이 너무 진하고 쓰기 때문에 물을 타서 연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누가 어떤 사연으로 물을 타서 마시기 시작했을까?

아메리카노는 제2차 세계대전 때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다. 아메리카노라는 말 자체는 미군 병사들이 진한 에스프레소에 물을 타서 마시는 것을 보고 현지 주민들이  미국 촌사람들이 마시는 촌스런 커피라고 비웃은 것에서 비롯됐다. 그런 면에서는 2차 대전 때 만들어졌다는 말도 맞다.

하지만 미국인들이 에스프레소에 물을 타서 마신 역사는 훨씬 오래전부터다. 미국 독립전쟁의 발단이 된 보스톤 차(茶)사건이 계기다. 영국이 차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자 미국인들이 반발했다. 차 상자를 바다 속으로 집어 던져버리고 차를 마시는 사람은 매국노, 영국의 앞잡이로 취급했다. 게다가 높은 관세 때문에 찻값도 비싸졌다. 남의 이목 때문이 아니더라도 마실 수가 없었다.

이때 네덜란드 무역상이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에서 재배한 커피 원두를 싼 값에 대량으로 미국시장에 수출했다. 미국인들이 이때부터 차 대신에 주로 커피를 마시기 시작했다. 하지만 유럽식의 진한 에스프레소는 그동안 익숙했던 홍차를 대신하기에 적당하지 않았다. 할 수 없이 물을 타서 마셨는데 연한 커피 색깔이 홍차의 빛깔과 비슷하고 맛도 부드러워졌다. 연한 미국식 커피, 아메리카노가 미국인의 국민음료가 된 배경이다.

지금 커피는 아메리카노가 대세다. 미국은 물론이고 아시아, 유럽인들조차도 에스프레소는 물론 아메리카노를 즐겨 마신다. 물 탄 커피로 미국은 세계 커피시장을 장악했다. 아메리카노뿐만이 아니다. 커피 전문점의 메뉴를 보면 커피에 무엇을, 어떤 순서로 섞었는지에 따라 종류가 달라진다.

에스프레소에 물을 타면 아메리카노다. 반대로 물에다 에스프레소를 섞으면 롱 블랙(Long Black)이다. 커페에 물을 타나 물에 커피를 타나 그게 그것 같지만 미묘한 맛의 차이가 있다. 때문에 커피점에서 아메리카노와 롱 블랙은 각각 다른 메뉴로 취급한다.

카페 라떼와 마키아또도 비슷하다. 공통점은 둘 다 에스프레서 커피와 거품낸 우유를 섞었다는 것이고 차이점은 커피와 우유의 섞는 순서가 다르다는 것이다.

카페 라떼는 문자 그대로 커피에 우유를 섞는다. 카페 오레도 마찬가지인데 라떼는 이탈리아, 오레는 프랑스 이름이라는 것이 차이라면 차이다. 추가하자면 카푸치노는 여기에 우유 거품을 더 얹은 것이다. 참고로 카푸치노라는 이름은 수도원의 수도승 복장에서 비롯됐다. 여러 설이 있지만 커피 색깔이 17세기 오스트리아 카푸친(Capuchin) 수도원의 수사들이 입는 옷의 색상과 비슷해서 생긴 이름이라는 한다.

마키아또는 카페 라떼 계열과는 반대로 우유를 바탕으로 여기에 에스프레소 커피를 탄 것이다. 마키아또라는 이름도 얼룩졌다는 뜻이다. 우유에 커피를 부어 흰색이 얼룩졌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단순화시켜 말하자면 커피의 종류는 커피와 물, 그리고 우유를 어떻게 혼합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덕분에 메뉴가 다양해지면서 커피 전문점이 성업을 이룬다. 순서를 바꿨을 뿐인데 비즈니스 영역이 넓어졌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