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제약 리그테이블]③뒷심 발휘한 셀트리온‧삼성바이오

  • 2019.11.22(금) 09:57

유럽‧미국서 바이오시밀러 활약…실적 대폭 개선
메디톡스‧코오롱생과, 악재 지속하며 수익성 급락

올해 바이오업계의 잇단 악재에도 대표주자로 꼽히는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실적 턴어라운드에 돌입했다. 바이오의약품을 복제한 바이오시밀러가 유럽과 미국에서 호황을 누리면서 올해 3분기 매출과 수익 모두 껑충 뛰어올랐다.

반면 대웅제약과 보툴리눔 톡신 균주를 둘러싼 갈등이 극으로 치닫고 있는 메디톡스와 골관절염 유전자 치료제 '인보사'의 허가 취소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코오롱생명과학은 수익성이 대폭 주저앉았다.

올해 3분기엔 셀트리온그룹에서 바이오의약품과 합성의약품(케미컬)의 개발, 생산을 맡고 있는 셀트리온이 2891억원의 매출로 바이오기업들을 이끌었다. 램시마SC와 항암제 트룩시마를 중심으로 바이오시밀러 매출과 자회사 셀트리온제약의 매출이 증가한 덕분이다. 특히 지난 9월 이스라엘 제약기업 테바(TEVA)의 편두통 치료제 '아조비(AJOVY)'의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한 것도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판매관리비와 연구개발(R&D) 비용이 다소 증가했음에도 매출 상승과 외환차익, 자회사 실적 개선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76.8%와 12.6% 증가한 1301억원과 616억원을 기록했다.

셀트리온이 개발 생산한 바이오의약품의 판매를 맡고 있는 셀트리온헬스케어도 2820억원의 매출을 올리면서 모회사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13억원, 10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6.5%, 57.8%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역시 자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 판매 증가와 기술료 유입으로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지난해 완공한 3공장의 생산 실적 증가가 매출에 반영되는 등 올 3분기 매출은 전년보다 82.8%나 급증한 184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7월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임랄디'의 미국 허가로 파트너사인 머크로부터 기술료를 수취한데다 판매관리비 감소 등으로 수익성도 대폭 개선했다. 영업이익은 236억원으로 124%나 늘었고, 순이익은 441억원으로 지난해 적자에서 흑자전환했다.

줄기세포 연구개발 전문기업인 차바이오텍은 매출 1120억원,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적자전환하는 등 매출과 수익 모두 감소했다. 미국에서 진행 중인 헬스케어 사업의 수익 반영이 내년으로 미뤄진 영향이다.

휴젤은 주력 제품인 보툴리눔 톡신과 필러의 국내‧외 매출 확대 영향으로 올 3분기 매출 511억원, 영업이익 182억원을 기록하며 메디톡스를 앞질렀다. 다만 지난해 3분기 올릭스 지분이 수익으로 잡혔던 일회성 이익 영향으로 순이익은 49.4% 감소한 121억원이었다.

메디톡스와 코오롱생명과학은 전년도와 비슷한 매출 수준을 간신히 유지했지만 잇단 악재로 수익성은 형편없었다.

메디톡스는 대웅제약과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소송비용 증가로 판매관리비가 전년보다 65%가량 급증한 데다 '메디톡신'의 수출도 감소하면서 매출은 484억원으로 소폭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82.4% 감소한 33억원, 순이익은 79.7% 감소한 29억원에 그쳤다.

코오롱생명과학 역시 골관절염 유전자 치료제 ‘인보사’의 국내 판매중단 및 품목허가 취소로 올 3분기 성적표가 좋지 않았다. 그나마 제약사업으로 매출은 7.4% 늘어난 324억원을 기록했지만 바이오사업의 유일한 품목이자 주요 매출원이던 인보사의 판매가 중단되면서 영업이익과 순수익은 지난해에 이어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인보사 임상 3상 개발비 전액을 손상 인식하면서 순손실이 지난해 45억원에서 86억원으로 늘었다.

테라젠이텍스의 경우 가장 매출 비중이 높은 유전자분석 사업이 제자리걸음이었지만 제약사업 매출이 늘면서 올 3분기 매출은 전년보다 12.3% 증가한 339억원을 기록했고 관계기업의 실적개선과 투자자산 취득으로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