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이 친환경 포장 방식을 도입해 'ESG 패키징'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기존 배송박스 측면에 라벨을 부착하는 대신 '먹물분사형 바코드'를 사용해 친환경 효과를 높였다. 이를 통해 총 3500만장의 코팅 라벨을 업앤 효과를 거뒀다.
CJ대한통운은 배송박스에 먹물분사형 바코드를 사용해 지난 3년간 3500만장의 코팅 라벨을 없앴다고 3일 밝혔다. 실제 먹물은 아니지만 오징어가 먹물을 뿜듯이 잉크를 분사하는 모습에서 착안, 물류현장에서는 ‘오징어먹물 바코드’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여러 종류의 상품을 함께 포장하는 이커머스 물류 특성상 박스 측면에 바코드를 표기하는 일은 필수다. 물류센터에서는 작업자가 박스에 담아야 할 상품의 종류와 수량을 확인하기 위해 박스에 표기된 바코드를 스캔해야 한다. 대부분의 물류업체들은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작업자가 플라스틱 박스에 담아온 후 배송할 박스로 옮겨 담는다. 이때 별도의 라벨에 바코드를 인쇄하여 박스에 부착한다.
CJ대한통운은 자동제함, 바코드 표기 기술과 빅데이터 역량을 결합해 라벨 부착 과정을 없앴다. 자동제함기가 박스 하단을 접으면 잉크 분사기가 박스 측면 골판지 표면에 바코드를 자동으로 새긴다. 타업체들과 달리 물류과정 처음부터 배송박스가 사용된다. 따라서 상품을 다른 박스에 옮기거나 별도의 라벨에 바코드를 인쇄해 부착하는 과정이 필요없다.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7㎝, 5㎝인 라벨을 기준으로 CJ대한통운이 없앤 3500만개 라벨과 밑장 총면적은 축구장의 34.3배 규모다. A4 용지 1장이 라벨 16개 크기와 유사하다. A4 용지 1 장 생산에 30년생 나무 한 그루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총 438그루의 30년생 나무를 살린 셈이다. 라벨 제작에 필요한 플라스틱 필름 코팅, 접착제 등으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까지 고려하면 친환경 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또 물류작업에 주문별 맞춤형 박스를 투입해 완충재 사용량을 최적화하며 과대 포장을 방지하고 있다. 완충재, 개별 포장재, 테이프 등 포장에 사용되는 모든 부자재는 종이로 대체되어 재활용이 가능하다.
김경훈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장은 “첨단화·자동화 기술을 통해 불필요한 부자재를 없애고 과대 포장도 방지하고 있다”며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물류 프로세스 곳곳에 환경친화적인 작업방식을 도입해 ESG 경영을 적극 실천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