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삼성·LG, 안전조치로 '불타는 ESS' 막는다

  • 2019.10.14(월) 14:20

ESS 화재원인 차단에 '총력'
신뢰회복 위해 발벗고 나서

삼성과 LG가 자사 배터리가 탑재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안전성 강화에 나선다. 2년 전부터 전국에서 연쇄적으로 ESS 화재가 발생하며 시장 생태계가 위축되고 있어서다.

◇ 화재, 종합적으로 '차단'

삼성SDI가 14일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내 삼성전자 기자실 브리핑룸에서 발표한 안전대책은 화재발생 사전, 사후 조치를 모두 종합했다. ESS가 설치되기 전·후 모두에 안전장치를 마련해 화재 발생 가능성을 물샐틈 없이 막는 방안을 강구했다.

우선 설치 전 운송과정에서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센서를 ESS에 탑재한다. ESS가 떨어지거나 외부 물질 반입 등으로 문제가 포착되면 배터리를 반출하고 운송 과정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삼성SDI는 작년말부터 출하되는 모든 배터리에 이 센서를 추가했다.

아울러 전력변환장치(PCS) 고장 등으로 ESS에 고전압, 고전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삼중 안전장치를 설치한다. 이상발생시 시스템 가동을 중단하게 펌웨어 업그레이드도 진행한다. 또 화재 발생시 인접 배터리셀로 고온의 온도가 옮겨붙는 것을 방지하는 특수 소화시스템을 추가로 적용하기로 했다.

기자들과 질의응답 중인 임영호 삼성SDI 중대형전지사업부장(부사장)/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삼성SDI는 이같은 조치를 이달 말까지 자사 베터리가 설치된 전 사업장에 도입할 계획이다. 1000억~2000억원 가량의 비용이 소요될 전망이다. 추가로 SDI는 ESS 설치 및 시공상태 감리 강화와 시공업체에 대한 정기교육도 실시한다.

LG화학도 이날 ESS 안전성 강화 조치를 발표했다. 외부 전기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 및 이상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 IMD(Insulation Monitoring Device)를 설치하는 내용이다. IMD는 기존 설치 사업장에 교체 지원됐으며 신규 사업장에도 확대할 계획이다. ESS 설치업체에 대한 교육도 진행한다.

LG화학은 화재확산 방지 제품도 준비 중이다. 현재 국제인증을 시험 통과한 상태이며 추가 테스트가 마무리되는 되는대로 관련 시스템을 적용해 출시할 계획이다.

LG화학 관계자는 "2017년 난징산 배터리를 포함한 현장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70%로 제한가동 중"이라며 "손실비용에 대해서는 당사가 부담해 사업주들의 부담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LG화학 배터리가 들어간 14건의 ESS 화재는 모두 회사 난징 공장에서 만든 제품이 탑재됐다.

◇ '더 놔둘 수 없다'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전기를 알뜰하게 사용하게 해주는 매개체다. 쓰고 남은 전기를 저장해 전력이 추가로 필요할 때 흘려보내는 저장장치다.

날씨 등에 따라 전력 생산량이 들쑥날쑥한 태양광 발전의 경우 햇빛이 쨍쨍할 때 많이 생산한 전기를 저장해뒀다가 흐린 날에 전류를 공장 등에 보낼 수 있다. 공장은 ESS로 저장한 전력을 전력수요가 적은 밤에 사용하면 전기료 감면 혜택을 받는 '윈-윈' 관계가 조성된다.

다만 지난해부터 연쇄 발생한 ESS 화재로 생태계가 흔들릴 조짐을 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6월 11일 화재 원인 조사결과와 안전조치방안을 발표했지만 충남, 강원 등에 설치된 세 곳의 ESS에서 재차 불길이 치솟으며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 7일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벤처기업위원회 산업부 국감에 참석한 LG화학과 삼성SDI 경영진은 ESS 화재원인과 책임소재와 관련해 국회의원들에게 뭇매를 맞았다.

배터리 업체 발등에도 불이 붙었다. ESS에 들어가는 배터리를 만드는 삼성SDI, LG화학 등의 수주실적이 전년 대비 뚝 떨어지며 실적부진 우려를 키우고 있다.

더욱이 2017년 8월부터 태양광 발전설비에서 발생한 국내 ESS 화재사고 26건 중 90%에 육박하는 23건(삼성 SDI 9건, LG화학 14건)이 두 회사 배터리를 장착한 제품에서 발생했다. 삼성과 LG는 보상금에 대한 충당금 설정 등으로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반토막 났다. 3분기 실적부진 우려도 제기된다. 두 회사 입장에선 미래 사업계획을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도 안전조치 강화 카드를 꺼내들 수 밖에 없었다.

◇ 책임여부엔 '선 그어'

다만 두 회사 모두 ESS 화재원인과 자사 배터리는 별개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배터리 구조 자체에 문제가 확인되지 않았기에 이를 시공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는 입장이다.

산업부의 ESS 화재원인 조사 결과 발표 자료에도 삼성과 LG의 배터리가 ESS 화재 직접적 원인으로 볼 수 없다고 나왔다. 다만 "여러 가지 운영조건과 결합해 화재 간접요인이 될 수 있다"며 여운을 남겼다.

전영현 삼성SDI 사장은 "ESS 화재 원인에 관계 없이 선제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 글로벌 리딩 업체로서의 책무"라며 "이번 조치를 계기로 위기에 직면한 국내 ESS 산업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LG화학은 사고 원인규명을 위해 실험 및 분석을 올해 말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결과에 따라 필요한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며 "만약 명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더라도 교체를 포함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