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배터리업계, ESS시장 불확실성 해소되나

  • 2019.06.11(화) 15:41

산업부, 화재 직접원인으로 배터리셀 꼽지 않아
1분기 손실본 LG화학·삼성SDI "불확실성 해소"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화재 사고로 움츠러들었던 배터리 업계가 사업 정상화를 기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1일 공개한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위원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위원회는 ESS 화재를 일으킨 직접적인 요인으로 배터리셀 결함을 꼽지 않았다.

위원회는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 4가지 요인이 직접적으로 ESS 화재로 이어졌다고 짚었다.

배터리 업계는 안도하는 분위기다. 그간 LG화학, 삼성SDI는 ESS 제조업체에 배터리셀(배터리 최소 단위)을 납품했다. 이 때문에 지난해 말부터 집중적으로 발생한 ESS 화재 당사자로 꼽힐까 마음을 졸였다.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개요도/사진=LG화학 제품 카탈로그 갈무리

ESS는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한 뒤 필요할 때 공급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배터리셀을 모듈, 팩으로 조립해 쌓아두는 구조다.

두 업체는 실적에도 타격을 받았다. 전년동기대비 올해 1분기 LG화학과 삼성SDI 영업이익은 반토막 났다. ESS 제조업체들의 부진으로 국내 배터리셀 수요 감소, 보상 충당금 등이 부담으로 작용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의 ESS 가동이 중단되는 등 배터리셀 영업환경이 악화됐다"며 "정부가 8월부터 배터리셀 안전 인증제를 도입하는 등 신뢰성 회복 계기가 마련됐다. 조만간 시장 정상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배터리셀 제조사의 책임소재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란 목소리도 나온다. 위원회는 특정 회사 일부 배터리셀에서 발생한 극판접힘, 절단불량, 양극 활물질 코팅 및 절단면 불량이 ESS 화재 간접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위원회 관계자는 "배터리셀이 단독 요인은 아니지만, 여러 가지 운영조건과 결합해 ESS 화재 간접적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