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반도체 관세 한 달 앞으로…업계 고심 깊어진다

  • 2025.02.24(월) 06:50

내달 반도체 관세 최소 25%…트럼프 '미국서 생산하라'
미국 생산량 늘려도 관세 영향권…투자확대도 쉽지 않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건 '관세' 카드가 이르면 내달 중 현실화 할 것으로 관측되면서 반도체 업계 셈법이 복잡해졌다. 미국에서의 생산량 확대를 통해 관세 충격을 최소화 하는 것만으론 해답을 내리기 어려워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9일(현지시각)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있었던 연설에서 "한 달 안에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에 대해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관세는 최소 25%이며 이후 1년 동안 최대 100%까지 인상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인상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려면 미국에서 생산하면 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관세가 수출입 시 부과되는 상품이기 때문에 미국에 생산설비를 구축하거나 투자액을 늘리면 관세에 대한 부담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양대축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상황을 살펴보면 여실히 드러난다. 

삼성전자의 경우 미국 오스틴에 반도체 공장을 운영하고 있고 텍사스주에 추가로 공장을 짓고 있다. 다만 두 공장 모두 위탁생산(파운드리) 공장인지라 이에 들어가는 실리콘 원판(웨이퍼)은 수입 등을 통해 조달해야 한다. 이 원판 역시 관세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단순히 생산량을 늘린다고 관세를 회피하기 어렵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에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는데, '패키징'에 특화해 있다. 쉽게 얘기해 반도체를 조달해 고성능 칩을 조립한다는 얘기다. 이 역시 조립에 필요한 반도체를 조달할 때 관세 영향권에 들 가능성이 높다. 

생산 뿐만 아니라 투자 확대를 통한 관세 회피 방안도 나오고 있지만, 이 역시 간단치 않다. 국내에 이미 대규모 설비 증설에 나선 상황이어서 미국으로 방향을 전환할 경우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수 있어서다. 

업계 관계자는 "단순하게 미국 생산량을 늘린다고 해서 관세의 영향권에서 벗어나기는 어렵다"라며 "관세가 트럼프 대통령 재임기간 중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있어서 관세로 인한 피해가 가중될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도 고민거리다. 미국이 반도체 관세에 본격적으로 나설 경우 다른 국가들이 관세 인상에 보복 혹은 대응하기 위해 일률적으로 관세를 올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반도체 제품이 미국에서 생산돼 수출될 경우 그 타격은 미국이 아닌 반도체 기업들이 입게 된다는 거다. 결국 국내에서 생산하든, 외국에서 생산하든 미국 관세인상의 파고는 어떠한 방향으로든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가 우리나라의 핵심 수출품목인 만큼, 이번 관세 인상의 영향은 단순 반도체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경제 전체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우려된다"고 말했다. 실제 우리나라의 지난해 수출액 규모는 6838억달러 였고 이 중 반도체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19억달러)에 달한다. 

반도체 업계는 물론 정부 역시 이같은 부작용을 인지하고 있어 미국이 관세를 확정하기 전까지 설득과 협상을 이어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최근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가 현안 논의를 위해 미국을 방문했고,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필두로 하는 경제사절단도 미국으로 날아가 협력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