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권 분쟁을 지속 중인 고려아연과 영풍이 1분기에도 실적 희비가 갈렸다. 고려아연이 생산품목 다각화를 바탕으로 호실적을 이어간 반면, 영풍은 계열사 부진에 조업중단 여파까지 더해지며 적자를 지속했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고려아연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3조8328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61.4% 증가했다.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이다.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2711억원으로 101분기 연속 영업흑자 대기록을 썼다. 전년대비 46.9% 늘어난 수치로 1분기 기준으로는 역대 두번째로 큰 수준이다. 별도기준 영업이익 또한 2727억원으로 43% 급증했다.
영풍은 3년 연속 영업적자를 지속했다. 1분기 연결기준 56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 전년 대비 30.3% 적자폭이 커졌다. 별도기준 영업손실은 506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적자 규모가 5배 불어났다.
업계에서는 고려아연이 시장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호실적을 지속한 것으로 분석했다. 고려아연의 경우 특정품목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각 부문별 기술 역량 강화에 투자를 집중했다.
고려아연은 세계 유일의 '아연·연·동 통합공정' 운영 덕분에 아연과 연정광에 포함된 극소량의 희소금속 12종을 추출하는 능력을 갖췄다. 올해 희소금속 회수율을 품목별로 20~30% 높이는 노력과 기술 혁신, 중국의 수출 통제에 따른 세계시장의 가격 급등세가 함께 작용하면서 수익성이 대폭 신장됐다.
방산 핵심소재로 쓰이는 안티모니, 반도체 기판과 디스플레이에 활용되는 인듐 등 전략광물의 1분기 판매 실적이 9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배 이상 급증했다. 고려아연의 별도 매출총이익의 20%를 전략광물이 기여할 만큼 호실적의 강력한 원동력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금·은 등 귀금속의 매출도 가격 상승세와 맞물려 한층 확대됐다. 고려아연의 금 부문 매출은 2024년 1분기 1548억원에서 올해 같은 기간 3581억원으로 2배 넘게 불어났다. 은 역시 7471억원으로 49% 급증했다.
영풍의 경우 물환경보전법 위반으로 올 2월부터 4월까지 58일간 석포제련소 조업정지 행정처분을 받은 점이 추가
악재로 작용했다. 2000년대 신성장동력 육성 차원에서 잇달아 인수한 반도체·전자 부품 제조사들도 제역할을 못했다. 코리아써키트의 경우 올 1분기 연결매출 3546억원, 영업적자 17억원, 분기순손실 22억원을 기록했다. 시그네틱스, 영풍전자 등의 계열사도 적자를 냈다.
영풍의 경우 성장동력 투자에 상대적으로 소홀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아연괴 실적이 제련부문 매출의 84%를 차지, 과도하게 생산품목이 편중되면서 제련수수료(TC) 급락, 아연 가격 약세 등으로 실적 하방 압력을 상쇄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