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인프라 상품 투자 적기?

  • 2020.12.16(수) 16:03

코로나19로 고전한 후 최근 자금유입 개선
경기 부양책으로 인프라 투자 본격화 기대

코로나19 사태 이후 실물경제 침체 우려로 가장 타격이 큰 분야는 건설 관련 인프라입니다. 이 여파는 인프라 펀드에도 고스란히 충격이 전달됐는데요. 인프라 펀드만 놓고 봐도 1년 수익률이 아직 마이너스(-)에 머무는 펀드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최근 석 달 수익률은 일제히 플러스(+)를 나타내고 있는데요. 인프라 관련 상품들로 자금 유입도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그 뒤에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개시와 경기회복 기대감이 자리하고 있는데요. 전문가들도 인프라 투자가 서서히 빛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최근 영국에 이어 미국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했습니다. 아직 갈 길이 멀긴 하지만 한줄기 희망의 빛을 보게 됐는데요. 백신 접종 가시화로 경제활동 정상화가 머지않으면서 그간 코로나 여파로 위축된 경기가 회복될 것이란 기대감도 되살아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더해 코로나를 극복하기 위한 각국의 경기부양책으로 인프라 투자가 본격화될 것이란 기대를 높이고 있습니다. 최근 대선을 치른 미국의 경우 바이든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가 예상되고, 중국 역시 내년부터 14차 5개년 경제계획을 진행하고 있는데 5%가 넘는 성장률을 제시하며 인프라 투자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영국 정부도 지난달 국가 인프라 전략을 발표했는데 코로나 이후 경제 재건을 위해 인프라 투자를 촉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탄소 중립을 위한 인프라 프로젝트와 함께 도로, 철도, 통신 인프라에 대한 전례 없는 규모의 투자 계획을 담았습니다.

이를 반영하듯 원자재, 산업재와 함께 인프라 섹터로 자금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습니다. 미국 ETF 시장에서도 인프라 ETF들로 돈이 몰려들면서 수익률이 눈에 띄게 좋아졌는데요. 

국내만 놓고 보면 올해 신규 설정된 펀드를 제외한 공모 인프라 투자 관련 펀드(설정액 10억원 이상)는 20개에 달하는데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1년 수익률이 마이너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프라 펀드 가운데서도 미국 MLP펀드 등 에너지 인프라 펀드들의 경우 -20~-30%에 달합니다. 

다만 원자재 시장도 경기회복 기대감을 등에 업으면서 최근 3개월간 반등폭은 여타 펀드를 압도하는데요. 한화에너지인프라MLP펀드, 한국투자미국MLP펀드 KB북미생산유전고배당펀드는 20~30%대의 수익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최근 상승세가 상당히 가팔랐음을 알 수 있죠.

신흥국을 중심으로 한 건설 인프라 펀드들은 코로나 이후 반등하며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대부분 인프라 관련 기업들에 투자하는 해외주식형 펀드들인데 1년 수익률이 최대 20~30%대를 기록 중입니다. 

중국과 홍콩 인프라 기업에 투자하는 미래에셋차이나인프라섹터펀드가 가장 수익률이 우수한데요. 중국 기계설비업체인 헝리예야를 필두로 텐센트, 굴삭기 업체인 삼일중공업, 안휘콘치시멘트 등을 상위 종목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미래에셋친디아인프라섹터펀드 역시 앞선 중국 인프라 기업과 함께 인도 기업도 일부 포함하고 있는데요. 인도 최대 항공사 인디고의 모회사인 인터글로브 에비에이션, 인도 최대 기업인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 등이 상위 종목에 담겨 있습니다. 

반면 글로벌 인프라 전반에 투자하는 펀드들의 경우 이제 막 반등에 나서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나UBS글로벌인프라펀드의 경우 3개월 수익률이 2.5%대를 기록 중이지만 1년 수익률은 아직 마이너스(-4%대)이고 삼성KODEXS&P글로벌인프라ETF 등 S&P글로벌인프라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도 3개월 수익률과 1년 수익률간 희비가 엇갈립니다. S&P 글로벌인프라지수는 전 세계 인프라 산업 중 에너지, 교통, 유틸리티 섹터의 상장 주식 75종목을 편입합니다. 

인프라 펀드의 경우 코로나 종식 기대와 맞물려 내년 전망이 더 밝은 편인데요. 유안타증권은 미국과 중국의 인프라 투자 기대가 적어도 연초까지 심화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하나금융투자는 인프라 섹터 등으로 자금 유입에 대해 글로벌 재고 축적 수요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공급망 재가동 가능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평가했고요. 

NH투자증권은 "코로나19 3차 유행의 정점으로 판단되는 현시점을 글로벌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매수하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라며 경기 민감 섹터인 공항, 도로 인프라에 대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이장호 하나UBS자산운용 전무는 "코로나 이후 전략 배분 대상 자산이 변하면서 세상을 관통하는 새로운 가치들을 창출하거나 기여하는 자산들에 주목하게 될 것"이라며 "기존의 안전자산 대신 코로나 극복을 위한 인프라에 투자하는 채권이나 채권과 같은 지분을 대안으로 고려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