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투자증권이 내부통제 이슈가 발생하면 모든 임원의 성과급을 일괄 차감하는 등의 방식으로 내부통제를 강화하겠다고 22일 밝혔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 상징지수펀드(ETF) LP 운용 과정에서 1300억원 규모의 손실을 낸 바 있다. 이에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고 위기관리·정상화 태스크포스(TF)를 구동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올해 1분기 △내부통제 △조직문화 △인적 혁신 등의 과제를 설정했다. '잘못된 관행을 제거하고 새롭고 건강한 회사'를 만들겠다는 목표다. 특히 내부통제 이슈가 발생할 경우 최고경영진을 포함한 전 임원의 성과급을 일괄 차감한다.
신한투자증권은 "특정 임원에게 책임을 한정하던 기존 관행에서 벗어나 내부통제 이슈 발생 시 회사 임원이 공동으로 부담하겠다는 집단 책임제의 선언"이라고 설명했다.
부서 평가도 내부통제 중심으로 이뤄진다. 내부통제에 대한 평가비중을 대폭 확대하고 내부통제 미흡 시 평가 점수와 관계없이 성과평가 등급 최저까지 하향이 가능하도록 강화했다.
포상도 강화한다. 내부통제 관련 미들·백 오피스 업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연말 성과우수 부서 및 직원을 포상하는 업적평가 대회에서도 내부통제 플래티넘 부문을 신설했다.
이선훈 신한투자증권 대표는 "금융기관에게 고객의 신뢰는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큰 자산"이라며 "이번 비상경영체제에서 내부통제를 평가 및 보상에 직접 연결해 실천 의지를 극대화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어 "보이지 않는 잠재적 리스크까지 모두 치유해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계속해서 내부통제 강화 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