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OTT 새 규제 설립만이 해법일까"

  • 2019.07.03(수) 18:40

언론학회 주최 토론회 열려
넷플릭스 파고든 유럽 대응 살펴봐야

넷플릭스, 유튜브 등 글로벌 OTT가 국내 시장을 장악하면서 이를 규제하려는 움직임이 거세지는 가운데 국내 OTT 산업 발전을 위해선 새로운 규제만이 해법이 아니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언론학회가 3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글로벌 미디어 환경 변화와 국내 OTT 산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 토론회에서는 OTT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이날 발제에 나선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이성민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2009년 IPTV법으로 모바일과 TV스크린이 분리됐으나, LG유플러스가 넷플릭스 플랫폼을 올리면서 TV와 모바일 분할 전략이 융해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OTT서비스를 TV로 올려주는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스마트TV 보급률이 80%에 육박하면서 기존에 TV를 보던 사람들도 TV를 통해 쉽게 OTT를 즐길 수 있게 돼 과거처럼 TV를 막을 수 있는 장애물이 사라진 셈"이라고 부연했다.

특히 이성민 연구원은 넷플릭스를 플랫폼이 아닌 VOD 시대의 새로운 채널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콘텐츠 제작부터 유통까지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단순한 플랫폼이 아니라 채널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현재 OTT를 방송법에 포함시키느냐에 대한 논의들은 넷플릭스가 TV로 들어오는 것을 막으려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규제의 틀을 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 사업자들이 어떤 규제에 놓여있었고 이게 맞는지를 먼저 짚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로운 영역에 대한 규제틀 확보만이 아닌 기존 사업자 규제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OTT 서비스가 채널화되면 콘텐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고 봤다. OTT가 채널의 성격으로 변화하면 채널로서의 경쟁력 있는 콘텐츠와 이를 어떻게 강화할 것인가가 중요해지기 때문에 콘텐츠 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성욱 교수도 "현재 국내 방송사업자들이 넷플릭스 방어를 위해 콘텐츠 배급을 막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지만 이는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며 "제작비를 늘릴 수 없는 상황이라면 동남아 시장에 힘쓴다든지 잘 하고 있던 드라마에 더 투자하는 등 질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데 힘써야 한다"고 언급했다.

3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글로벌 미디어 환경 변화와 국내 OTT 산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백유진 기자]

다만 메디아티 강정수 대표는 콘텐츠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실제적인 대안이 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강정수 대표는 "콘텐츠 하나를 잘 만든다고 해서 성공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성공을 위해 필요한 것은 소비자 참여와 광고를 이끌어올 수 있는 마케팅 이해도"라고 강조했다. 그는 근거로 유럽의 방송사 사례를 들었다.

넷플릭스의 유럽 영상시장 독식에 위협을 느낀 유럽연합(EU)은 넷플릭스와 아마존 등 미국 인터넷기업을 대상으로 전체 콘텐츠 중 최소 30%를 EU에서 제작한 지역 콘텐츠로 채울 것을 규정한 바 있다. 그러나 이같은 규제에도 넷플릭스는 유럽 시장에서 꾸준히 성장하는 추세다.

그는 "영국 BBC와 ITV를 비롯해 프랑스와 독일 방송사들이 넷플릭스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콘텐츠를 강화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콘텐츠 강화만이 중요하다면 이러한 전략을 적용한 유럽이 왜 아직까지 고전하고 있는지 입증해야 한다"고 짚었다.

때문에 넷플릭스에 밀리지 않기 위해서는 '브로드캐스팅'이 아닌 '퍼블릭 미디어'로 방향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 강정수 대표의 주장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브로드캐스팅이 아닌 퍼블릭 미디어 서비스로 새롭게 태어나 중심 영역을 잡아줘야 한다"며 "퍼블릭 미디어 서비스로의 재편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넷플릭스에 대응하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