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에 대해 정부가 중기적으로 검토해볼 과제라는 입장을 내놨다.
유광열 기획재정부 국제금융협력국장(사진)은 27일 서울 63빌딩에서 비즈니스워치 주최로 열린 '시진핑 정부 2년차, 중국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세미나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유 국장은 "중국 자본의 국내 유입이 늘어나면 실물부문보다 금융부문에 더 큰 영향을 준다"며 "중국 자본흐름의 변동성 확대가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관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통화스왑을 활용한 위안화와 원화의 무역결제를 활성화하는 노력도 필요하다"며 "위안화 직거래를 위한 시장이나 허브를 육성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금융 인프라를 개선하고, 위안화 수요기반을 확대한 후 중기적 관점에서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새누리당은 올해 초부터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필요하다는 논의를 시작했고, 위안화 거래소 설립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유 국장은 국내은행의 중국 진출에 대해서도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국내시장 포화나 한국계 기업 지원을 위해 진출하겠다는 수동적 적근은 지양해야 할 것"이라며 "우리의 영업 강점을 활용해 철저하게 현지화하고, 상품개발과 마케팅, 진출 방식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실물 부문에서는 중국의 산업구조가 고도화하고, 소비 중심의 성장전략으로 바뀌는 점을 고려해 대(對)중국 주력 수출품목을 '중간재'에서 '최종재' 중심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으로 관세장벽을 없애 시장을 선점하고, 중국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투자와 고객유치, 한·중 기업의 제3국 공동 진출을 위한 대출 지원도 확대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녹색기후기금(GCF) 한국 대리이사를 겸하고 있는 유 국장은 중국과의 환경분야 협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을 줄이고, 배출권거래제 시행 경험을 공유해야 한다"며 "녹색기후기금 등에서도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