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02/11/MD202202110843471_wmark.jpg)
서울을 비롯해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가 거래 절벽 현상을 보이고 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11월 들어 1367건을 기록하며 1000건대에 진입했다. 그 뒤 12월 1123건, 1월 727건(집계 중)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 1000건대를 기록한 것은 2019년 2월(1624건) 이후 2년10개월 만에 처음이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02/11/MD202202110843579_wmark.jpg)
2월 한달 거래량이 1000건대 이하라면 또다른 기록을 세우게 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서 매매량 집계를 시작한 2006년 이후 4개월 연속 1000건대 사례는 단 두 번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또 2018년 '9·13대책' 발표 직후다.
수도권 매매가 역대급 거래 절벽을 보이는 것과 달리 증여 행렬은 이어지고 있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02/11/MD2022021108440314_wmark.jpg)
지난 1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작년 12월 서울 아파트 증여 건수는 597건으로 가계대출규제 도입 초기인 9월(449건)에 비해 33% 늘었다.
부동산업계는 수도권 집값 고점 우려, 금리 인상, 대출 규제 등 집값 하방 압력이 커졌으나 다주택자는 집을 팔기보다는 증여를 선택했다고 분석했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02/11/MD2022021108440415_wmark.jpg)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해 11월15일 기준선(100) 아래인 99.6으로 떨어진 뒤 12주 연속 100 아래를 유지하고 있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100)보다 낮다는 건 현재 시장에서 살 사람보다 팔 사람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대선을 앞두고 새 정부의 정책 변화를 지켜보려는 관망세가 확산하면서 주택 거래량이 급감하고 있는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 "대통령 선거 전까지는 일단 약보합세 기류가 확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02/11/MD202202110843547_wmark.jpg)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02/11/MD202202110843536_wmark.jpg)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02/11/MD202202110843493_wmark.jpg)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02/11/MD2022021108440012_wmark.jpg)
총 1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댓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