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트라우마 갇힌 '브라질 닭고기'…과거엔 어떤 일이?

  • 2017.03.24(금) 16:48

참치-소시지-고등어 등 해마다 한바탕 소동
안전성 논란 휘말려 도산도…"일단 피하고 보자"

최근 브라질에서 부패한 닭고기를 생산·판매한 업체가 적발됐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 국내에서는 닭 사진 한장이 인터넷을 달궜다. 어린아이 몸집만한 크기로, 한눈에 봐도 위협적이다. 브라질에서 문제가 된 닭고기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사진속 닭은 브라질산 식용닭이 아닌 일본산 투계(싸움용 닭)종인 샤모인 것으로 확인됐다. 샤모 가운데서도 가장 큰 오-샤모 수컷으로, 이 종은 몸길이 최대 90cm, 몸무게 최대 7kg까지 나가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같은 '아니면 말고 식' 얘기들이 퍼지는 건 그만큼 먹거리에 대해 소비자들이 민감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정부가 부패한 닭고기 생산·판매로 문제가 된 브라질 육가공업체 BRF S.A 닭고기가 국내 유입되지 않았다고 밝혔음에도 관련 업체들이 전전긍긍해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문제가 된 닭고기를 사용했느냐 하는 사실 여부를 떠나 '브라질산 닭고기'만 들어가도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을 수 있다는 불안감이다. 이미 많은 업체들이 이런 일로 곤욕을 치른 선례가 있다.


◇2014년 참치-2015년 소시지-2016년 고등어 '곤욕'

가까운 시기에는 지난해 5월 고등어 파동이 있었다. 고등어가 난데없이 미세먼지 주범으로 몰리며 관련 업체들이 몇주동안 휴업에 들어가야 하는 등 피해를 봤다.
 
2015년 10월에는 소시지가 한바탕 곤욕을 치렀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소시지·햄 등 가공육을 1군 발암 물질로 새롭게 분류하면서다. 담배와 석면이 같은 발암물질군으로 분류된다는 내용이 전해지면서 파장이 커졌다.

WHO 발암물질 분류 소식이 전해진 뒤 이틀간 이마트에서는 가공육 매출이 일주일전보다 28% 가량 줄었다. 홈플러스(-24%), 롯데마트(-21%) 등에서도 비슷한 수준의 매출 감소가 나타났다. 논란은 식약처가 한국인의 가공육 섭취량은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는 설명을 내놓으면서 가라앉기 시작했다. 앞서 WHO는 매일 50g 이상의 가공육을 섭취하면 대장암에 걸릴 위험이 18% 높아진다고 발표했는데, 식약처 분석 결과 한국인의 가공육 섭취량은 하루 평균 6g 수준에 불과했다. 자외선도 1군 발암물질로 분류돼 있다는 사실이 알려진 것도 도움이 됐다.

소시지업체 관계자는 "어떠한 음식이든 다량으로 섭취하면 부작용이 있기 마련인데 특정 사실이 왜곡·과장돼 일단 이슈가 번지면 어떤 식으로든 피해로 이어진다"며 "업체들은 불안심리를 진정시키기 위해 회수든 판매중단이든 조치를 취하지만 관계당국이 좀 더 적극적으로 국민들을 안심시키는데 나서줘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참치도 '수은 논란'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참치는 2014년 미국 소비자단체 컨슈머리포트가 '임산부라면 수은이 든 참치는 먹지 않는 게 좋다'는 보고서를 발간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올해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환경보호국(EPA)이 "주 2~3회(227~340g) 참치 섭취는 오히려 좋다"며 논란의 종지부를 찍었지만, 아직도 미심쩍은 마음에 참치 섭취를 꺼리는 임산부가 많다.

참치가공업체 관계자는 "참다랑어나 상어 등 큰 개체에서 수은 함량이 높은데, 참치통조림에는 작은 개체를 쓴다"며 "자체 품질조사를 해보면 함유량이 거의 없거나 전혀 검출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은이라는 것은 공기중이나 물, 쌀 등 일상생활을 위해 꼭 필요한 것들에도 아주 미량씩은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걸리면 죽는다'…식품업체들의 트라우마
 
식음료 안전성 논란은 한 기업을 죽이기도 살리기도 한다.  '쓰레기만두 사태'가 대표적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1989년 삼양라면 우지파동 등 논란은 오래전부터 있었다"며 2004년 쓰레기만두 사태를 최악의 사례로 꼽았다. 그는 "적발된 업체를 제외하면 문제가 없다는 것이 드러났지만 만두를 취급하는 모든 업체가 타격을 받았다"며 "작은 업체들은 파산에 이르기도 했지만 구제받을 길은 없었다"고 말했다.

식품업체들이 단무지공장에서 폐기되는 무 조각 등을 만두소로 사용했다는 경찰 발표로 촉발된 쓰레기만두 사태는 한 중소기업 사장의 목숨을 앗아간 뒤에야 일단락됐다. 그는 "저희 만두는 아무 이상이 없다. 잘못한 사람은 벌을 내려졌으니 더 이상 선의의 피해자가 나오지 않도록 도와달라. 여러분이 안심하고 먹어주셔야 만두업계가 살고, 이곳 종사자들이 살 수 있다."는 유서를 남겼다.

식품업계에 따르면 이같은 식품안전 논란이 불거지면 통상 6개월 가량 직·간접적인 피해가 이어진다. 직접 문제가 된 업체뿐 아니라 관련된 업체들도 매출에 타격을 입는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기업마다
 안전센터나 품질책임 부서를 두고 식품 유해성을 점검한다. 장기적으로는 식량자원 문제까지 염두에 두고 식품산업 발전을 꾀하고 있지만, 현재 과학으로는 밝히지 못하는 부분도 많아 자극적 유언비어가 돌때마다 속수무책인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식품안전성 논란은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식품을 먹은 것 아니냐'는 소비자들의 불안감만큼이나 '잘못 이슈에 휩쓸리면 도산을 할 수도 있다'는 식품업체 트라우마도 심각하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