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은행이 야심차게 추진하던 지주회사 전환이 사실상 중단된 모습이다. 지주회사로의 전환을 위한 비은행 계열사 인수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협은행의 재무상황도 썩 좋은 상황이 아니어서다.
수협은행과 수협중앙회는 겉으론 지주 전환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지주회사 전환의 '열쇠'를 쥐고 있는 수협은행의 대주주 수협중앙회 내부에서는 지주회사 전환에 대한 회의감까지 나오고 있다. 상당기간 진척이 없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주회사전환, 결국 '보류'
지난해 1월 수협은행은 수협금융지주 회사를 설립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비은행 계열사를 인수해 덩치를 키운 이후 금융지주 체제로 전환하겠다는 것이었다. 현재 금융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은행업과 비은행업을 아우르는 종합 금융서비스를 제공해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판단에서였다.
수협은행은 지난해에는 수협금융지주 전환을 위한 초석을 닦고 올해부터 비은행 계열사 인수합병에 나서 금융지주회사로의 초석을 닦겠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올해가 다 끝나가는 현재 사실 상 진척이 없었다는게 금융권의 중론이다.
지지부진하게 시간만 보내는 사이 수협중앙회 측은 금융지주로의 전환은 당분간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최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수협은행의 금융지주사 전환은 필요하다"라면서도 "여러가지 경제적 여건 상 보류 중"이라고 말했다. 김기성 수협중앙회 대표도 "금융지주 설립을 통한 사업 다각화 검토가 필요하다"라면서도 "수협중앙회와 은행쪽 자본 여건 상 보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류'의 진짜 이유
현재 금융지주회사법 상 금융지주 회사 설립을 위해서는 두 개 업권에 사업을 영위하는 금융회사를 지배하고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수협은행이 지주회사로의 전환을 선언한 이후 가장 먼저 나선 것이 비은행 계열사의 M&A 였다.
수협은행은 비은행 계열사 인수를 올해 중 마무리 한다는 계획이었지만 성과는 없었다. 수협은행은 우선적으로 캐피탈사 혹은 자산운용사를 인수하려 했지만 마땅한 매물이 시장에 나오지 않았다. 게다가 높았던 시장금리가 내려가고 금융투자업계도 최근 몇 년 전보다는 활기를 되찾는 모습이 연출되는 등 사려고 하는 회사들의 몸값이 점점더 올라간 것도 선뜻 M&A에 나서지 못한 이유로 꼽힌다.
무엇보다도 대주주인 수협중앙회의 기류가 달라졌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더 우세하다. 수협금융지주회사로의 전환은 전임 회장대에서 추진한 사안인데, 중앙회장이 바뀌면서 우선순위에서 밀렸다는 것이다.
수협 내부 사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수협금융지주로의 전환이라는 의제를 제시한 것은 전임 수협중앙회장이었는데 수협중앙회장이 바뀌고 나서는 내실을 더 닦는 것이 중요하다고 의견이 모아졌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수협은행의 덩치로만은 지주회사를 추진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며 "결국 수협중앙회에서 지속적으로 자금을 수혈해 줘야 하는데 기류가 달라지니 이것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결국 보류하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수협중앙회의 사업구조 상 은행의 지주회사 전환보다 더 시급한 과제가 생겼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지속된 고금리와 대출자산의 부실화 등으로 제2금융권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 이어지면서 개별 지역 수협들 역시 위기에 직면한 것이 대표적이다.
다른 관계자는 "수협중앙회의 기류가 달라진 것이 회장이 바뀌었기 때문도 있겠지만 개별 수협들의 상황이 매우 좋지 않다"라며 "이에 수협중앙회가 당장 지주회사 전환에 힘을 줄 여력이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